킨텍스의 주차비 정산, 내차위치찾기 등 주차장 이용 시스템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킨텍스는 11일 방문객 주차서비스 편의 증진을 위해 국내 최초로 킨텍스 2전시장 지하주차장에 하이브리드 AI 주차유도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기존 주차유도시스템들과는 차별화된 초음파 센서방식과 영상 인식방식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하이브리드방식이다.
대형 규모로 이용객의 주차유도 및 안내가 어려운 전시장 주차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용객들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킨텍스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국내 전시장 최초로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도 추가, 킨텍스 주차장 이용객 편의성도 강화했다.
사전무인정산기 앞에서 줄을 서지 않고도 QR코드를 통해 모바일로 편리하게 주차비를 정산할 수 있도록 했다. 킨텍스앱을 통해서도 주차비 결제, 내차위치찾기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고객 안전을 위해 보행자와 차량에 위험을 미리 감지해 알려주는 스마트안전센서도 설치했다.
킨텍스는 지난해부터 코로나19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전시장 인프라 구축에도 앞장서고 있다.
전시장에 상설로 최신식 온라인 화상상담장을 구축, 참가 기업과 해외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상담도 지원하고 있다. 1전시장 그랜드볼룸에 LED 대형스크린, VRㆍAR 영상송출시스템, 홀로그램시스템, 라이브스트리밍 장비 등도 설치해 비대면 온라인 화상강연과 토론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인프라도 확충하고 있다.
오는 2024년 개장을 목표로 7만㎡ 규모로 건립 추진 중인 킨텍스 3전시장에도 최신 디지털기술 도입과 업계 의견을 수렴, 스마트전시장 건립으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전시장으로 거듭 난다는 계획이다.
이화영 대표이사는 “하이브리드 주차유도시스템 구축과 국내 전시장 최초 AI 딥러닝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도입 등으로 방문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전시장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최첨단 디지털 기술들을 도입, 킨텍스가 글로벌 마이스산업을 선도하는 전시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