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빼고 다 올랐다.’ 괜한 말이 아니다. 물가 오름세가 그만큼 심상찮다. 통계청 수치로만 보면 잘 모른다. 12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0.5%다. 시민 모두가 공감하지 않는다. 그럴 리가 없다고 한다. 여기엔 이유가 있다. 실생활과 밀접한 품목의 물가가 폭등했다. 대표적인 게 식생활 물가다. 농축산물은 9.7% 뛰었다. 쌀값(20㎏)이 11.5%, 돼지고기가 16.1%, 쇠고기가 10.7% 올랐다.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도 10% 뛰었다.
채소나 과일의 인상 요인은 예상됐다. 지난해 긴 장마와 태풍으로 작황이 좋지 않았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 쇠고기 등 고기류와 계란 등의 인상 요인은 다른 데 있다. 바로 코로나로 늘어난 ‘집 밥’ 수요 증가다. 방역 정책의 기본이 ‘만남 자제’다. 집 밥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여기에 식재료 가격까지 폭등했다. 일주일에 10만원 정도 지출하던 ‘집 밥 예산’이 15만원 정도로 늘었다는 하소연이 많다. 앞으로도 계속 될 현상이다.
코로나 극복을 위한 재난지원금이 또 시작됐다. 정부가 11일부터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시작했다. ‘소상공인 버팀목 자금’으로 모두 4조1천억원이다. 코로나 피해가 큰 소상공인이 대상이다. 4차 재난지원금도 논의 중이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번에도 경기도가 앞서 나간다. 도민 1인당 10만원씩, 설 전에 지급한다는 구상이 얘기되고 있다. 듣는 도민의 관심이 많다.
재난지원금에는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지원금을 매개로 추가 소비를 끌어내는 효과다. 이른바 ‘승수(乘數) 효과’다. 산업 전반에 활력을 주는 마중 물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기대가 반감될 가능성이 큰 작금의 흐름이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생활 물가가 주범이다. 이를테면 매주 10만원의 식비를 쓰던 가계에 밥상 지출이 15만원이 됐다. 재난 지원금 10만원은 이 차이 5만원을 두 번 채우면 끝난다. 승수 상실이다.
전 국민에 코로나 재난지원금을 지급했던 것은 지난해 5월이었다. 팬데믹 초기였다. 산업계 누적 피해도 적었다.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그래서 컸다. 이번에는 다르다. 경제 구조 자체가 그때에 비해 턱없이 허약하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실생활 물가 폭등까지 겹쳐 있다. 승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스펀지 효과로 기대가 크게 반감할 수 있다. 4차 재난지원금 논의 과정에서 한 번쯤 들여다봐야 할 구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