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평화·대화·비핵화 의지 있다고 본다”
“미국과의 관계도 정상화 돼야 한다”
“위안부 판결, 솔직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남한 답방에 대해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남쪽 답방은 남북간 합의된 상황이라 언젠가 이뤄지기 바란다”며 이같이 답했다.
문 대통령은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용의가 있다”며 “그렇게 남북정상 만남이 지속돼 신뢰가 쌓이면 언젠가 김정은 위원장의 남쪽 답방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여건상 김 위원장의 답방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여지를 남기며 추후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은 평화 의지와 대화에 대한 의지, 비핵화에 대한 의지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 대신 미국으로부터 체제 안전을 보장 받고 미국과의 관계도 정상화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일본군 ‘위안부’ 피해 보상 판결이 나온 데 대해 위해 “한일 간 수출규제 문제,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고 있다”며 “그런 노력을 하는 중에 위안부 판결 문제가 더해져서 솔직히 좀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 해법에 대해 “2015년도 양국 정부간 위안부 문제 합의가 공식 합의였다는 점을 인정한다”며 “그 토대 위에서 이번 (배상) 판결을 받은 피해자 할머니들도 동의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한 “과거사 문제도 사안별로 분리해서 서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면서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한일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가야하는건 그것대로 또 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제징용 해법에 대해선 “강제집행 방식으로 현금화나 판결이 실현되는 방식은 한일 양국간 관계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렇게 되기 전에 양국간 외교적 해법을 찾는 게 우선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다만 외교적 해법은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며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방법을 양국 정부가 협의하고 한국이 그 방안을 갖고 원고들을 최대한 설득하는 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