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고병원성 AI 확산 거셀 시 1만4천여마리 살처분

인천시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지역 확산 가능성이 커지면 방역에 취약한 소규모 가금농가의 가금류 1만4천여마리를 예방적 살처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19일 시에 따르면 지난 15일 고병원성 AI 유입 방지와 차단 방역을 위한 ‘소규모 가금농가 예방적 수매·도태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에는 사업 착수와 함께 10일 이내에 소규모 가금농가의 가금류를 사들여 살처분한 이후 랜더링(고열처리 후 퇴비화) 관련 업체로 운반·폐기한다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이 같은 예방적 살처분의 대상인 소규모 가금농가는 100마리 이하의 가금류를 키우는 가금농가다. 인천에는 모두 969곳의 소규모 가금농가가 있다. 시는 상대적으로 방역에 취약한 소규모 가금농가를 예방적 살처분의 대상으로 정한 상태다. 이들 소규모 가금농가에서 키우는 닭, 오리 등의 가금류는 1만4천423마리에 달한다.

또 예방적 살처분에 필요한 사업비는 가금류를 사들이기 위한 수매보상금 2억9천만원, 사체처리비 7천만원 등 모두 3억6천만원이다. 이는 시와 군·구가 50%씩 부담한다.

앞서 인천에서는 지난 2016년 서구의 한 가금농가에서 키우던 토종닭 25마리로부터 고병원성 AI가 발생해 주변 가금농가 279곳의 가금류 5천974마리를 예방적 살처분했다.

최근에는 지난해 11월 26일 전라북도 정읍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인천에서는 지난해 12월 27일 중구 영종도에서 발견한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나왔다.

다만, 시는 좀 더 상황을 지켜보고서 소규모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한 예방적 살처분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고병원성 AI가 계속 발생 중인 것은 맞지만, 당장 인천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시 관계자는 “수요 조사와 예산 마련에 각 군·구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소규모 가금농가 역시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려면 지금보다 확산세가 두드러져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어 “고병원성 AI가 인천의 인근 지역 등에서 발생하고 역학적으로도 지역 확산 가능성이 커지면 바로 수매·도태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