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이 헬기 조종사 태부족으로 헬기 출동을 통한 구조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다.
26일 해양경찰청 등에 따르면 해경의 헬기 조종사 정원은 116명이지만, 현재 근무 중인 조종사는 78명으로 67%에 그친다. 지난해 12월까지만 해도 81명이었지만, 1개월 사이 조종사 3명이 해군과 산림청으로 이직하며 더 줄었다.
해경이 운행 중인 헬기는 19대로 1대당 조종사 2명(기장, 부기장)이 필요하다. 여기에 3교대 근무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114명의 조종사가 있어야 정상 운항이 가능하다.
해경은 해상 사고 시, 가장 가까이 있는 헬기를 먼저 출동시킨 후 사고 규모에 따라 추가로 헬기를 보낸다. 충남 태안 바다에서 대형 사고가 생기면 인천과 군산, 목포 등 인근에 있는 모든 헬기를 동원하는 식이다. 이 과정에서 조종사가 부족하면 대응 시간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
헬기 조종사의 이탈 현상이 두드러지자 해경은 지난해 5월부터 항공인력 이직 방지 대책을 만들었다. 올해 채용 예정인 조종사 36명 중 2명의 직급을 경위에서 경감으로 상향하는 등의 내용이다. 또 조종사를 전문경력관으로 선발해 보수 등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요청하고 시설관리 전담 인력도 채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조종사들을 붙잡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다른 기관에 비해 출동이 잦은데 비해 급여 수준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자체 조종사 양성이나 국내 대학 내 헬기운항학과의 업무협약 등의 방법을 찾아야 하지만, 이 역시 상당 시간과 예산이 필요해 당장의 인력난을 해결하긴 어렵다.
김종선 목포해양대 해양경찰학부 교수는 “직급 상향만으로는 조종사들의 사기 진작이 어렵다”며 “다른 기관에 없는 해경만의 유인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민간항공사 만큼은 아니더라도 그에 근접할 수 있는 체계나 해경이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수당 등이 한 방법”이라고 했다.
이영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