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성평등지수 수년째 전국 중하위권…가사노동시간·육아휴직자 문제 시급

인천시의 성평등지수 순위가 수년째 전국 중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다.

27일 여성가족부와 시 등에 따르면 여성가족부가 최근 발간한 2020 지역성평등보고서 분석 결과, 인천지역의 성평등지수는 76.9점으로 16개 시·도(세종 제외) 중 10위다. 여가부가 조사를 시작한 2014년부터 6년간 시가 중상위권(8위 이내)에 진입한 적은 8위를 한 2018년뿐이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 의식 향상을 위해 해마다 여가부가 지역별 성평등 수준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성평등지수가 높을수록 남성 대비 여성의 수준이 높으며 성별 격차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 및 문화 등 3가지 정책영역으로 나뉜다. 이 중 인천지역의 성평등 의식 및 문화 영역의 순위는 73.9점으로 12위다. 지난 2014년 전국 1위였지만 6년 만에 하위권으로 추락한 것이다. 인천은 이 영역을 구성하는 가족, 문화·정보 분야의 순위가 모두 하락했다. 3개 영역 중 그나마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여성의 인권 및 복지 영역도 86.2점으로 10위에 그친다.

특히 성평등지수를 평가하는 8개 분야 가운데 가족, 복지, 안전 분야는 전부 10위권 밖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복지 분야 순위는 15위로 사실상 꼴찌 수준이다. 복지와 안전 분야 역시 각각 11위와 10위를 기록했다.

여기에 가족 분야는 2014년 11위에서 2019년 15위로 내려가면서 역대 최저 순위를 기록하는 등 지속해서 순위가 떨어지고 있다. 이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가사노동시간 성비, 가족관계만족도 등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문화·정보 분야도 여가시간 성비, 여가 만족도 성비 등 모든 지표 점수가 낮아지면서 2위에서 8위로 주저앉았다.

이 때문에 시가 성평등지수 향상을 위해 가사노동시간, 육아휴직자 등의 지표 개선을 위한 정책 추진이 시급하다. 또 50점 미만의 성적이 나오는 5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 비율 등도 시가 시급히 개선해야 할 지표로 꼽힌다.

시 관계자는 “성평등지수 점수는 조금씩 높이고 있지만, 단기간에 성과가 나오지 않아 다른 지자체의 상승 폭을 따라잡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가사 분담률 등 성평등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등의 방법을 계획 중”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