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30일 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도했다는 이유로 국정원의 사찰대상이 됐던 사례를 소개하며 아직 공개되지 않은 존안 자료의 공개를 촉구했다.
이재명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해 말 국정원법이 통과돼 이제 국내정보 수집은 가능하지 않게 됐지만 아직 공개되지 않은 존안 자료가 많다”면서 “소상히 공개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국민으로부터 대리 된 공적 권력에 대한 견제와 균형의 원리는 민주주의 시스템이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2일 방영된 KBS ‘시사 직격’은 최고권력자가 인사를 장악하기 위해 모은 인사정보를 뜻하는 국정원 ‘존안 자료’의 실체에 대해 집중조명했다. 이재명 지사는 성남시장 당시 국정운영을 저해한 지방자치단체장 목록에 포함됐다. 4대강 사업을 비판하는 시민단체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 이유였다.
방송을 통해 공개된 ‘이재명 성남시장의 국정운영 저해 실태’ 문건을 보면 이재명 성남시장은 취임 이후 지역 내 좌파단체들이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진전을 시청 중앙홀에서 개최토록 지원하고, 좌파단체 주관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행사에 참석하여 추모사를 하는 등 좌파단체와의 연대활동을 지속하고 있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국민께서 사랑한 대통령을 추모하고 추도사 올리는 것이 왜 사찰대상이고 ‘국정운영을 저해하는 행위’였는지, 공적 권력을 사유화하는 이 무도한 문화의 뿌리는 얼마나 깊고 넓게 퍼져 있던 것인지 모르겠다”며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적폐청산에 우리 사회 기득권 세력의 저항이 얼마나 거셀지 짐작 가는 대목”이라고 말했다.
이어 “불법사찰하여 여론전에 이용하고 당사자를 겁박하기도 했던 ‘달콤한’ 관습을 엄벌하고 끊어내는 것은 불굴의 용기와 끈기가 필요한 일”이라면서 “새삼 국정원 정보보고를 거부했던 노무현 대통령님의 원칙과 소신을 되새기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