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아침] KBS 인천방송국 설립해야

국민의 방송 한국방송공사(이하 KBS)가 인천의 주요 현안문제를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다고 혹평을 받았다. 인천YMCA·YWCA·경실련으로 구성된 인천주권찾기조직위원회가 인천 주요현안에 대한 KBS의 보도태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 뉴스의 지역성·공정성이, KBS 지역방송국이 있는 곳의 뉴스에 비해 ‘최악’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매립지’와 관련한 인천 뉴스는 부정적인 것투성이였고,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 관련뉴스는 아예 없었다는 거다. 최근 회자되는 인천의 핫이슈만을 골라 관련뉴스를 분석한 결과여서 실로 충격적이다. 이런 데 대해 조직위원회는 KBS 인천지역방송국이 없어서라고 진단했다.

KBS는 TV 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운영한다. 하지만 1TV와 1라디오는 공영성 강화를 위해 광고를 하지 않는다. 한편, 수신료는 방송법 제6566조에 의거 KBS가 부과·징수한다. 이에 ‘수상기 소지자’는 수신료를 납부해야 하며,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의하여’ 징수 당한다. 결국 KBS는 주로 조세 성격의 수신료로 운영한다는 거다. 그래서 KBS는 ‘방송의 공정성과 공익성 실현’이란 공적 책무를 다해야 하고, 이를 위해 서울 본사와 전국 9개 주요도시(부산·창원·대구·광주·전주·대전·청주·춘천·제주)에 방송총국, 9개 지역(울산·진주·포항·안동·목포·순천·충주·강릉·원주)에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KBS 지역방송국이 없어 뉴스 소외지역으로 밀려났다. KBS는 2018년 말 지역방송 경쟁력 확보방안의 일환으로 ‘<뉴스7> 지역화 방안’을 시범 시행했다. 저녁 7시 뉴스 시간대 전체를 지역총국이 직접 제작·편성토록 한 거다. 해당지역 주민들은 환영했고, 전문가도 KBS의 지역성 강화를 위한 분기점이라고 호평했다. 반면, 지역방송국이 없는 인천시민은 KBS 본사의 중앙·서울 중심적 뉴스만 강요받았다. 일례로 인천국제공항의 동북아 허브공항 전략(One-Port 항공정책)을 위협하는 가덕도신공항 재추진이 부산시장 보궐선거용 공약으로 남발되는 상황에서, 부산·경남과 대구·경북 KBS 지역방송국은 찬반으로 갈려 엄청난 양의 뉴스를 쏟아냈다. 하지만 인천공항을 걱정하는 인천 뉴스는 하나도 없었다.

결국 KBS는 경기, 서울 다음으로 수신료를 많이 납부한 인천시민에겐 법적 공적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 그런데도 인천정치권은 일언반구가 없다. 국민이 신뢰하는 공영방송을 통해 지역여론을 형성하여 인천 현안을 풀 수 있는데도 말이다. 이제 시민이 나서서 ‘KBS 인천방송국’ 설립을 요구할 때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