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4년째 추진중인 영동고속도로 소래나들목(IC) 건설 사업이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사업비가 450억원으로 묶인 상황에서 24년째 답보 상태이다 보니 사업비가 급증한 데다, 유료화 및 요금인상 등으로 관계기관간 협의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2일 시와 LH(한국주택토지공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0년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한 소래IC 건설사업에 대한 실시설계 등을 올해 상반기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경기 시흥의 공업단지 등으로 오가는 차량 등으로 소래지역이 교통난 문제가 심각하자 이를 해결하려 1997년 소래IC 영업소(TG) 설치를 전제 조건으로 국토교통부의 사업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LH와 사업비 분담 문제 해결이 쉽지 않다.
시는 지난 2000년 LH의 논현2지구 택지개발사업 승인을 하는 과정에서 소래IC 건설을 조건으로 했다. 이어 2010년 LH로부터 ‘사업비 450억원으로 소래IC를 설치하겠다’는 확약서를 받았다. 이후 현재 주민 반대 등으로 사업이 멈춰서면서 현재 소래IC 설치비는 인건비와 토지보상비 등이 올라 700억원까지 뛴 상태다.
시는 궁여지책으로 지난해 한국도로공사의 영동고속도로 확장공사와 맞물려 군자TG를 논현동으로 옮겨 소래TG를 짓지 않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는 사업 초기 LH가 시에 제안한 방법이기도 하며 총 사업비가 471억원에 달한다. LH가 확약한 450억원을 조금 넘는 금액이다. 시는 LH에 비용 분담을 요구했지만, LH는 거부하고 있다. LH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시에 확약한 450억원만 부담 가능하다”며 “추가비용 부담은 할 수 없다”고 했다.
또 소래IC 설치로 유료화 및 요금인상 등으로 인근 주민 반발, 이에 따른 경기도 시흥·부천시 등 지자체와의 협의 등도 풀어야 할 숙제다.
군자TG가 옮겨지면 그동안 월곶JC에서 영동고속도로-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 등을 따라 무료로 서울까지 오가던 시흥 시민은 돈을 내야 한다. 반대로 무료로 월곶을 오가던(서창~정왕) 인천·부천 시민도 고속도로 요금을 내야 한다.
이 때문에 주민 반발이 불가피하고 결국 시흥·부천과의 협의도 미지수다. 또 다른 지자체가 인천시와 군자TG 이전과 관련한 협의를 하지 않을 경우 국토부의 사업 인허가도 받을 수 없다.
시 관계자는 “소래IC 건설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더미인 것은 맞다”고 했다. 이어 “관계기관간 협의를 지속해 사업비 분담 및 TG 이전 문제 등을 해결하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