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양에 기피시설 떠넘기기, 서울시장 후보들 상생책 내놔야

이재준 고양시장이 서울시장 선거 예비후보자들에게 고양시에 있는 기피시설 문제 해결 등 상생대책을 촉구했다. 최근 서울시장 예비후보자들이 16만에서 많게는 120만 가구의 주택공급 계획 발표 등 서울시 주거 및 도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기피시설 대책은 없어 고양시 등 경기도가 피해를 입게 되기 때문이다. 이 시장은 “개발 편익은 서울시민이 취하고 고통은 인근 경기도 시·군 주민이 떠안도록 서울시가 독단적인 도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는 벽제화장장·서울시립묘지 등 장사시설과 난지물재생센터·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 등 경기도 시·군 가운데 가장 많은 기피시설을 고양시에 건립했다. 난지물재생센터는 마포·서대문·용산·종로·중구 지역 하수를 처리하는데, 주택 20만호가 공급될 경우 인구 50만명이 늘어나고 하수량은 18만t이 늘어나게 된다. 난지물재생센터는 자유로를 오가는 차 안에서도 분뇨 냄새가 날 정도로 인근 주민들이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고양시의 오랜 설득에 서울시가 약 500억원을 투입해 수처리시설 덮개 설치, 탈취시설, 주민친화시설 등을 마련했지만 역부족이다.

서울시립묘지는 5곳 중 1곳만 서울에 있고, 4곳이 경기도에 있다. 이 중 3곳이 고양과 파주에 있다. 1970년 고양시에 설치된 서울시립승화원에는 23기의 화장로가 있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추모공원 화장로 11기에 비해 2배 이상 많다. 이로 인해 고양의 승화원에선 2배나 많은 화장 수요를 감당하고, 인근 도로는 차량들이 뒤엉켜 몸살을 앓고 있다.

고양시는 수색역 차량기지 이전과 관련해서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서울시가 상암·수색역 주변지역 개발을 위해 차량기지를 고양시 물류기지로 허가된 덕은동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장의 말대로 “서울시의 수색역세권 복합개발은 편익은 서울시민이 누리고, 기피시설은 고양시민이 떠안게 되는 대표적 도시계획”이다.

고양시장은 서울시가 우선 해결해야 할 문제로 서울시립승화원 교통대책 마련 및 묘지 신설 제한, 난지물재생센터의 시설 현대화, 수색차량기지 상생방안 수립을 주문했다. 고양시는 서울과 인접한 땅 4천만평이 그린벨트로 묶여 사유재산권이 침해당하고, 서울 집값 안정을 위한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면이 있다. 서울시민의 쾌적한 주거를 위해 고양시민이 언제까지 희생양이 돼야 하나. 서울시장에 나서는 여야 예비후보들은 기피시설 문제의 해결 방안과 함께 상생대책을 내놔야 한다. 누가 당선되든 서울시로 인한 피해를 함께 해결할 책무가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