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쌍용자동차가 3일부터 5일까지 평택공장 가동을 중단한다. 부품 협력업체에 결제대금을 주지 못해 협력사들이 납품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주인이 여러번 바뀌면서 도산과 대규모 정리해고 등을 겪었던 쌍용차가 또 다시 법원에 운명이 맡겨지고, 공장 가동 중단에까지 이르자 근로자와 협력사들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쌍용차에 부품 등을 납품하는 300여개의 중소 협력사들은 “쌍용차의 정상화에 대한 희망을 갖고 모든 협력사가 부품을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실질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호소했다. 쌍용차 협력사 비상대책위원회는 3일 호소문을 통해 “쌍용차가 생산 재개를 통해 조기 회생을 하지 못한다면 열악한 경영상황에 처해있는 중소 협력사는 연쇄 부도로 인해 대량 실업 사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에 이같이 요청했다. 비대위는 “협력사와 협력사 그리고 협력사와 쌍용차는 하나의 공동운명체로서 서로의 생존이 직결돼 있다. 약 4개월분의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한 300여개 중소 협력사들은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쌍용차의 회생작업 차질로 협력사들이 줄도산 위기에 빠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협력사 비상대책위는 지난달 28일 간담회에서 쌍용차 정상 가동을 위해 P플랜(사전회생계획) 돌입에 동의하고 부품 납품도 지속하기로 했다. 다만 협력업체 16곳이 대표로 참여한 비대위 결정에 일부 대기업 부품업체와 영세업체가 반발하며 부품 납품을 거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든 협력사의 원활한 부품 공급이 이뤄져야 쌍용차의 정상적인 생산과 영업 활동이 가능하다. 그래야 이를 통해 협력사의 채권 회수도 가능하다. 협력사들은 현재 부품 공급을 중단한 채 바라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지만 해법은 아니다. 정부가 금융지원을 하든, 중재를 하든 공장 가동을 멈춰선 안된다. 쌍용차의 존립에는 300여개 협력사, 16만여명의 일자리와 생계가 달려있다.
쌍용차는 회생이냐 파산이냐의 갈림길에 직면해 있다. 현재 쌍용차 상황은 정부 지원과 부품을 공급하는 대기업 및 외국계 투자기업의 협조 없이 자력으로 경영 정상화를 이루기 어려워 보인다. 최근 투자 협상자인 미국의 자동차 유통업체 HAAH오토모티브가 미국으로 돌아가 버렸다. 다시 협상이 재개될 수 있을 지 미지수다. 여기에 셧다운 기간이 설 이후까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관계기관과 협의해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쌍용차가 최악의 상황인 ‘청산’에 이르게 해선 안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