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권을 향한 여권 잠룡들의 숨 가쁜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 내 ‘1강 주자’로 올라서자, 당내 경쟁자들의 견제가 격렬해지는가 하면 일각에선 대선 경선 연기론이 고개를 드는 등 소용돌이가 휘몰아치고 있다.
여권 잠룡들은 이재명 지사의 트레이드마크인 기본소득 정책을 연일 비판, 기본소득이 대권 경쟁의 최대 이슈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앞서 이낙연 대표는 이 지사의 기본소득 구상을 겨냥, “알래스카 빼고는 그것을 하는 곳이 없다. 기존 복지제도의 대체재가 될 수는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또 “그것(기본소득)을 제창한 분도 그걸 하자고 하기보다는 수년 내에 1년에 100만원, 한 달에 8만3천~8만4천원으로 조금 후퇴한 것도 있다”며 견제구를 던졌다.
대신 이 대표는 자신의 복지정책 구상인 신복지체제(소득, 주거, 교육, 의료, 돌봄, 환경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국민생활의 최저기준을 보장)를 띄우고 있다.
또 다른 대권주자인 정세균 국무총리도 지난 4일 기본소득에 대해 “지구상에서 기본소득제도를 성공리에 운영한 나라가 없다”고 지적했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자산이나 소득에 상관없이 균등하게 지급하자는 것은 정의롭지도 현실적이지도 않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이 지사를 향한 견제구가 쏟아지는 이유로는 이 지사가 당내 독주체제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성수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5일 경기일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후위 주자들은 1위 주자 견제를 통해 자신을 부각하고 유권자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대권주자들의 ‘이재명 때리기’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대권주자들의 화력이 이 지사의 핵심 정책인 기본소득에 집중되면서 오히려 이 지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대권주자들의 집중 견제가 ‘비판 속에서도 소신을 관철하는 이 지사의 정책 추진력’을 돋보이게 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이날 정치권에선 민주당 대선 경선 연기론이 퍼지며 혼란이 일었다. 현행 당헌상 ‘대선 180일 전’ 후보를 선출해야 하는 규정을 ‘대선 120일 전’ 정도로 늦추자는 주장이다.
4월 보궐선거와 5월 전당대회, 코로나19 등이 겹치면서 대선 준비기간이 촉박해진 데다 미리 대선 후보를 선출할 경우 야당의 표적 공천이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인데, 당내에선 ‘위험한 발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경선 연기론에 대한 논의 자체가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 일으켜 당의 내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선을 앞두고 당내 분열이 심화할 수 있는 셈이다.
당 지도부는 즉각 진화에 나섰다. 민주당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전혀 사실이 아니다. 당내에서 논의된 바도, 검토된 바도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고, 신영대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정말 소설 수준”이라고 일축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