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가 섬지역 일부를 제외한 인천지역 분뇨를 도맡아 처리하고 있다. 서구 주민이 분뇨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악취 등에 15년간 고통을 받은 만큼, 인천의 다른 기초단체에서 관련 예산을 마련·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지역 곳곳에서 나눠 처리하던 분뇨처리 업무를 환경부의 관련 지침 등에 따라 서구의 가좌분뇨처리시설로 통합했다. 이후 가좌분뇨처리시설은 자체 처리시설이 있는 강화군을 제외한 9개 군·구에서 나오는 모든 분뇨를 통합 처리하고 있다.
지난 2019년 기준 가좌분뇨처리시설이 반입·처리한 분뇨는 74만1천653t에 달한다. 이 중 부평구가 15만8천642t으로 가장 많고 이어 남동구 13만6천t, 미추홀구 12만6천t, 계양구 12만1천t 등이다. 연수구와 서구 등은 송도·청라국제도시가 하수와 오수를 나눠 처리(분류식)하고 있어 가좌분뇨처리시설에 반입하는 분뇨의 양이 인구에 비해 적다.
인천의 모든 분뇨가 가좌분뇨처리시설로 몰리면서 인근 5㎞ 이내에 있는 석남·가좌·원창동 주민은 악취로 큰 고통을 겪고 있다. 또 분뇨 수집·운반 차량이 일대를 오가며 악취와 먼지 등의 환경문제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오는 7월께 가좌분뇨처리시설의 처리용량 증설공사가 끝나면 더욱 많은 분뇨를 반입·처리해야 하는 만큼 인근 주민의 피해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군·구로부터 분뇨 처리와 관련한 이용분담금을 걷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를 토대로 가좌분뇨처리시설 주변에 대한 환경정비사업과 주민 지원사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민 지원사업의 경우는 장기적으로 주민 수용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미 서구의 수도권매립지는 매년 반입 수수료의 20% 이내를 주민 지원기금으로 조성해 주변 주민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분뇨처리시설의 운영 적자가 심각해 수도권매립지와 같은 방식으로 지원재정을 만드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현재 가좌분뇨처리시설 운영비는 해마다 100억원이 들어가지만, 실제 분뇨 처리수수료(1ℓ당 1원)로는 수익이 8억~9억원에 그쳐 수수료로 주민 지원을 하긴 어렵다. 처리수수료 인상도 전체적인 물가 인상에 영향을 주기에 추진하기 쉽지 않다. 별도의 이용분담금을 걷어야 효과적인 지원재정 마련이 가능한 것이다.
시는 최근 분뇨처리시설 운영비의 15% 정도를 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7개 구에서 걷겠다는 내부 계획을 세운 상태다. 반입량이 적은 옹진군은 제외다.하지만 일부 지자체는 수억원에 달하는 이용분담금을 내기에 부담스럽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는 이용분담금의 절반을 일정 기간 지자체에 지원해주는 방안도 추진하며 지자체를 설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에서 나오는 모든 분뇨를 서구에서 처리하고 있는데, 가좌분뇨처리시설 주변 주민에 대한 지원책은 전무하다”고 했다. 이어 “다음달까지 7개 구와 가좌분뇨처리시설 이용분담금에 대한 협의를 마치고, 상반기 중 관련 계획과 조례 제정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