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소개] 바다의 노래 外

정현태 시집 '바다의 노래'

■<바다의 노래>

바다를 배경으로 삶의 잔잔한 시어들이 펼쳐진다. 잔잔했던 시어들은 시구가 되면서 날카롭게 삶과 현실을 직시하고 강건해진다. 정현태 전 남해군수가 펴낸 <바다의 노래>(궁편책 刊)는 바다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가져와 운율로 펼쳐놓는다.

시집은 아름답기만 한 음율보다는 시인의 눈으로 바라본 삶과 정치, 현실이 녹아있다. 그는 에둘러 말하지 않고, 핵심을 질러버린다. “농부가/잡초를 뽑을 땐/그 뿌리까지 뽑는다/그래야 다음에는 얼씬도 못한다//친일 세력도/그 뿌리까지 뽑아야 한다/그래야 다시는/어두운 역사가 반복되지 않는다”( ‘뿌리뽑기’)

저자는 반복하는 물결처럼 삶의 굽이마다 덧입혀진 마음의 옹이를 가시화된 시어로 끄집어낸다.

1부 ‘운명의 바다’를 통해서는 운명의 근원, 바다와 같은 삶의 물줄기가 열리는 유년 시절을 다루고, 2부와 3ㆍ4부에서 성인이 된 시인이 현실을 바라보고 성찰하는 시각, 마지막 5부에서는 성찰의 끝에 융화와 대통합에 대한 웅지를 품는다.

정현태 시인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했다. 문학을 전공했지만, 정치에 입문했고 남해군수를 지냈다. <바다의 노래>는 정현태 시인의 시로 쓴 자서전이며 그의 첫 시집이다.

 

▲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기후 위기뿐만 아니라 불평등, 대규모 규제 완화로 지구에 각종 위기가 온다며 이러한 ‘신기후체제’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이 나왔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브뤼노 라투르의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이음 刊)이다.

책은 1980년 이후 나타난 탈규제와 복지국가의 해제, 2000년대 이후 나타난 기후변화의 부정, 지난 40년간 급격하게 증가한 불평등 문제를 하나로 꿰어 설명한다. 또 코로나19 팬데믹과 지구온난화 문제도 연결 짓어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인간이 무사히 착륙하는 방법을 풀어놓는다. 그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지난 5개월간 팬데믹을 다루기 위해 수많은 정책이 도입됐다”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생물 다양성의 손실을 막기 위해 해야 하는 것들에 비해 얼마나 작은 노력인지를 깨닫는다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협력이 얼마나 특별해야 하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1만8천원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