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집단감염 잇따르는데…늘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정부

최근 남양주 공장과 평택 사교파티 등 외국인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정부가 관리감독 강화에 나섰으나 실효성 부족 우려가 나온다. 외국인 밀집시설은 꾸준히 방역 사각지대로 꼽혔음에도 그간 손을 놓다가 관련 확진자가 속출하자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대책을 펼치면서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남양주시 플라스틱 제조 공장은 지난 13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지금까지 16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날 오전까지 전 직원 177명(내국인 32명, 외국인 149명)의 72.8%가 감염된 상황이다. 직원 확진자 중 73.6%인 120명이 외국인 노동자다. 방역당국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공장 내 숙소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17일 첫 확진자가 나온 평택의 외국인 사교모임에서는 현재까지 1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은 SNS를 통해 사전 공지를 한 뒤 지난 13일 모임을 가졌다. 당시 경북, 충남 등 전국에서 외국인 21명이 참석했다.

이처럼 외국인 확진자가 쏟아지면서 정부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외국인 밀집시설과 외국인 방문이 많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외국인 밀집지역에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해 익명검사 추진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감염내과 교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좁은 공간에서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고, 언어장벽 등으로 방역수칙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한다”며 “정부가 매번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고 있는데, 외국인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방역수칙 등을 알리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했다.

또 처벌 등 불이익이 두려워 코로나19 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불법체류자들에 대해서도 실질적이 대책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주노동자 지원단체 지구인의정류장 김이찬 대표는 “방역당국이 신분을 묻지 않고 코로나19 검사를 하더라도 결과를 통보받으려면 적어도 전화번호는 남겨야 하는데, 불법체류자로선 이마저도 꺼린다”며 “고용주가 불법체류자들의 외출을 자제시키면서 검사를 받게하는 것도 쉽지 않은 분위기”라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