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정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을 계기로 소부장 기술독립에 박차를 가한다.
경기도는 공동 연구개발(R&D), 반도체 펀드 구축 등 특화단지 육성에 필요한 국비 지원을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자족기능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3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식’에 참석해 이 같은 뜻을 밝혔다.
이 지사는 “재작년 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 산업에 잠시 위기가 찾아왔지만 현재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있다”며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앞으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소부장 기업과 산업들이 새로운 기술독립을 이루고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소부장 특화단지는 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가치사슬이 소재부터 완성품까지 집적된 단지를 말하며, 용인(반도체)을 비롯해 충북 청주(이차전지), 충남 천안(디스플레이), 전북 전주(탄소소재), 경남 창원(정밀기계) 등 5개 단지가 이번에 지정됐다.
정부는 이들 단지를 ‘첨단산업 세계공장’으로 육성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먼저 R&D에서 사업화까지 수요·공급 기업 간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R&D를 우선 추진하고, 테스트베드센터 240곳을 통해 실증과 양산평가를 할 수 있게 해 사업화도 지원한다. 또 코트라의 글로벌 파트너링(GP)센터를 통해 글로벌 기업과 연결해주는 등 특화단지 기업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방침이다. 아울러 32개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융합혁신지원단, 12개 대학소부장 자문단에서 전문인력을 파견해 현장 기술도 지원하며 단지별 맞춤형 투자유치 전략 수립과, 인센티브 확대에도 나선다.
이번에 선정된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는 경기 남부권에 집중된 소부장 산업체들과의 연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고급인력 유치도 원활해 향후 ‘글로벌 소부장 클러스터’로 충분히 성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는 한국형 테스트 베드 구축, 소부장 연구사업단 운영 지원 등을 통해 그동안 진입장벽이 높아 투자가 힘들었던 소부장 분야 스타트업의 경쟁력 강화와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의 틀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