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의학과 1학년의 해부학과목에서 ‘얼굴신경’에 대해 강의를 했다. 해마다 그렇듯이 나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찰하며 내가 말하는 내용을 스펀지같이 받아들이려는 학생들의 열의에 찬 눈동자를 보면서, 나는 늘 이들을 ‘좋은 의사’로 만들고 싶었다.
어느덧 이번 학년도의 해부학 수업이 끝나, 최근 해부실습실에서 열리는 ‘시신기증인 합동추모제’에 참석했다. 제단에는 이번 학기에 시신을 기증한 8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해부학 주임교수의 인사가 끝나고 학생들이 조별로 나가서 꽃을 바치고 묵념하기 시작했다.
너무나 적막하였다. 옆에 앉은 부학장과 의학교육실장에게 나지막하게 “음악이 있었으면 좋겠네요”하고 말했다. 그들이 대답하였다. “내년에는 꼭 준비하겠어요” 둘째 조의 헌화가 시작했다. 그 적막을 견딜 수가 없었다. 맨 뒷줄에 앉았던 나는 자리에서 일어나 조용히 노래를 불렀다.
“주 날개 밑 내가 편히 쉬리라, 어두운 이 밤에 바람 부나…” 마지막 조의 묵념이 끝날 때 2절이 끝났다. 곧 내빈 인사 차례가 되어 앞으로 나갔다. 나는 “여러분은 시신을 기증하신 분들에게 빚을 진 셈입니다. 이분들에게 보답하려면 여러분이 ‘좋은 의사’가 되어야 합니다”고 했다. 이는 나의 박사 지도교수인 백상호 교수가 쓴 ‘좋은 의사를 만드는 길’이라는 논문 중에 있는 문구다.
‘좋은 의사’는 기준 이상의 임상 능력과 바른 직업관, 높은 신뢰성을 가지도록 키워야 한다. ‘좋은 의사’는 한 개인의 성품, 교육, 직업관, 제도, 자기노력이 톱니처럼 물려서 완성된다. ‘좋은 의사’로 만들려면 대학에서는 정성과 교육기술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키워야 된다. ‘좋은 의사’ 교육에서 중요한 점은 실천을 통한 의식의 변화, 그리고 교수의 롤 모델이다.
이 같은 내용을 요약해서 학생들에게 전해줬다. 이러다보니 이 학생들을 좋은 의사로 만들려면 의학지식, 임상술기, 태도를 가르쳐야 하며, 무엇보다 내가 먼저 ‘좋은 의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학생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는 책임감이 더 커지기도 했다. 또 앞으로 이 학생들과 3년간 같이 지내며, 이들이 졸업할 때 정년퇴임을 하게 된다는 생각에 어깨가 더 무거워진다.
종일 외래 진료실에 앉아있다가 또 지하의 해부실습실에 있었더니 푸른 하늘이 보고 싶어진 탓에, 한하운 시인의 ‘파랑새’가 떠올랐다. 이어 “나는 나는 죽어서 파랑새 되어, 푸른 하늘 푸른 들 날아다니며, 푸른 노래 푸른 울음 울어 예으리. 나는 나는 죽어서 파랑새 되리.”라는 시구를 읊으며 인사말을 마무리 했다.
이제 육신이 예비 의사들의 손에 해부되어 이 세상의 하실 일을 마무리하신 기증자들의 영혼이 푸른 하늘 푸른 들을 날아 안식을 얻기를 기도한다.
황건 인하대 의과대학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