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 "정비사업 해제구역 307개 내 도시재생 19개 불과"

경기도내 도시정비사업이 해제구역에 비해 지원사업이 부족해 원도심 노후화가 가속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경기연구원은 도내 정비사업 해제구역이 307개에 달하지만,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이 48개 구역에 걸쳐 19개에 그쳤다는 ‘경기도 정비사업 해제구역의 효율적 정비ㆍ관리방안’을 발간하고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를 보면 도는 지난 2016년 국가 도시재생사업으로 4개 지역(부천시 2개ㆍ성남시 1개ㆍ수원시 1개)을 선정했다. 이어 2017년에는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수원시와 부천시를 선정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34개 지역을 합하면 현재까지 총 40개 지역에서 경기도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도시정비사업 해제구역은 9개 시(고양시ㆍ남양주시ㆍ부천시ㆍ성남시ㆍ시흥시ㆍ안양시ㆍ양주시ㆍ의정부시ㆍ평택시)로, 19개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 중 부천시는 해제구역이 66개로 가장 많으나, 16개 구역에서 4개의 도시재생뉴딜사업만 추진 중이다. 평택시는 해제구역이 25개에 이르지만, 11개 구역에서 2개의 도시재생뉴딜사업만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보고서는 도시정비사업 해제구역을 도시기능과 도시정비 여건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나눠 도시재생사업 가능 여부를 조사했다.

유형별로는 ▲주거지 재생 유형 ▲일부 도시정비사업 필요 유형 ▲상점가와 전통시장 포함 지역 ▲도시쇠퇴지표 미달로 도시재생사업 어려운 지역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307개 정비사업 해제구역 중 230개 구역에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이 총 48개 구역이므로, 나머지 182개 구역에서도 추가적인 도시재생사업 가능하다는 것이다.

재생사업 요건을 만족하는 구역이 가장 많은 곳은 부천시로 51개다. 다음으로 평택시(22개)와 남양주ㆍ의정부시(각 18개), 안양시ㆍ군포시(각 17개) 순이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도시정비 해제구역은 도시재생사업만으로는 개선하기 곤란한 실정으로 협업체계를 보완하고 주민 체감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며 “해제구역에 대한 유형별 지원정책을 통해 소규모 도시재생사업을 확대하고 주민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사업 등과 같은 다양한 사업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원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