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들의 한숨은 날로 커지는 가운데 소상공인 사업장에 디지털화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얼마 전 TV 강연에서 디지털 전문가에게 “사업 성공의 비결은 무엇인가”라고 질문한 것을 보았다. 전문가는 “아직 디지털이 시작되는 않는 것을 디지털화시키면 성공할 수 있다“라고 답한다. 그만큼 디지털화는 성공의 키포인트다.
그 예로 비대면 배달 주문, 서빙로봇 등 시장의 성장을 두 눈으로 목격하고 있고, 앞다투어 기업들이 투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의 디지털이 얼마나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사람이 기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디지털화라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 안 해봐서 그렇게 느끼는 것일 뿐 우리 주변에 온라인쇼핑몰, 홈쇼핑채널, 라이브커머스 운영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영세한 소상공인들의 디지털화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신규 오픈하는 몇몇 점포에서 키오스크가 도입되고 있지만 갈 길이 멀다. 또한, 소비고객 연령이 높은 전통시장에서는 꿈만 같은 일이지만 이곳이라고 해서 밀려오는 스마트 바람을 막을 수 없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스마트상점, 스마트공방 도입, 스마트슈퍼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금년 스마트상점은 2만개, 스마트공방 600개, 스마트슈퍼 800개를 선정하여 육성하고, 온라인 시장 확대 등 소비유통 환경 변화에 대응,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소상공인 온라인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전통시장의 온라인 진출을 전담 지원하는 전통시장 디지털 매니저를 파견하여, 온라인 진출 컨설팅, 데이터 수집, 각종 교육을 통해 스마트화를 지원하여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다.
인천의 전통시장은 계속해서 디지털화를 시도하고 있다. 부평구에 있는 십정종합시장은 약 200여개 상품이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관에 입점하여, 매출을 늘리고 있고 계산시장 등 많은 전통시장은 라이브커머스를 진행하면서 시장 내 디지털화에 앞장서고 있다.
코로나19로 소상공인이 힘들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상점들은 연일 매출이 늘고 있는 것을 보면 이를 통해 소상공인의 디지털화, 스마트화가 왜 필요한지 알 수 있다.
급변하는 소비경제의 지형 속에서 디지털화는 시대의 흐름이 되고 있다. 새로운 판촉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라이브커머스, 온라인시장 등 비대면 경제는 사회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러한 환경에 적극 대응해 나가지 않는다면 필연코 도태될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들은 디지털화가 필수이며, 시대의 흐름인 것을 하루라도 빨리 느끼고 그에 맞는 준비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유동준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