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도시공사(iH)가 공동 추진하는 제3기 신도시인 인천 계양테크노밸리(TV)가 신도시 지정 직전 토지거래가 급증해 투기 의혹이 일고 있다. 경찰은 광명·시흥 신도시 땅을 산 LH 직원 등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하는 한편 계양TV 등에 대한 관계자의 토지 매입까지 광범위한 수사에 착수했다.
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8년 계양구 동양동·박촌동·귤현동·상야동 333만㎡에 1만7천가구를 짓는 3기 신도시인 계양TV 개발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계양TV는 총사업비가 4조3천219억원 규모이며, LH와 iH가 8대2의 비율로 추진한다. 지난해 12월부터 1조2천500억원을 투입해 토지 보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신도시 선정을 앞두고 평소보다 훨씬 많은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부동산거래시스템을 보면 신도시 발표 직전 달인 2018년 11월 계양구의 순수 토지거래량은 336건에 달한다. 이는 2017∼2018년 월별 기록 중 최고치다. 이 기간 계양구의 월별 토지거래량은 최소 52건에서 최대 132건(2017년 12월)에 불과하다.
특히 사업 예정지 중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계양구 동양동에서는 지난 2018년 하반기에 매월 1∼4건의 거래만 있다가 11월에는 8건의 거래가 이뤄진 상태다. 8건 모두 개발제한구역(GB)로 307∼5천226㎡의 땅이 9천200만∼9억8천만원에 거래가 이뤄지기도 했다.
지역 안팎에선 신도시 사업 정보가 발표 전 유출이 발생했을 것이란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이곳이 GB여서 개발 여건이 매우 좋지 않았던데다, 당시 광명·시흥이나 김포보다 계양은 주목받지 못했는데도 갑자기 많은 토지거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 감사관실도 당시 시와 구에서 신도시 관련 업무를 맡던 공무원을 비롯해 iH 관계자 등을 중심으로 투기 연루자가 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특히 경찰도 계양TV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2018년 말부터 최근까지 이뤄진 계약을 모두 확인해 LH인천지역본부 직원들은 물론 iH 직원, 시와 계양구 등 관련 공무원, 시·구의원 등 모두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경찰은 이날 경상남도 진주에 있는 LH 본사와 광명·시흥 신도시 땅을 산 13명의 직원들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강제수사에 돌입한 상태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계양TV와 부천 대장지구에 대한 수사를 벌이고 있다”며 “관련자는 물론 일가친척, 그리고 차명계좌까지 광범위하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