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그린 뉴딜 통해 ‘환경특별시 인천’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한다.
21일 시에 따르면 최근 인천형 그린 뉴딜 분과회의를 열고 올해의 사업 추진방향 등을 논의했다. 앞서 시는 지난 5일 디지털 뉴딜 분과회의를 통해 전체적인 뉴딜 사업에 대한 밑그림을 확정했다.
인천형 그린 뉴딜은 ‘환경·안전 개선과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표로 모두 78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오는 2025년까지 총 5조6천억원을 투자해 일자리 5만8천개를 만들 방침이다.
특히 이번 분과회의에는 안영규 행정부시장과 관계 공무원으로 구성한 인천형 뉴딜 추진단과 그린 뉴딜 관련 전문지식 및 현장경험을 갖춘 전문가로 이뤄진 특별위원회가 참여했다.
시는 그린 뉴딜의 전반적인 추진방향과 함께 업무협약을 통한 수소산업 기반 구축, 해양·환경 정책 추진을 위한 컨트롤타워인 ‘환경특별시 추진단’ 발족 등의 최근 성과를 공유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원동준 인하대학교 교수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지역 주도의 분산 에너지로의 전환 흐름과 최근 유럽의 탄소국경세 도입 논의 등을 인천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인천의 산업과 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저탄소·그린 산업으로의 체질 개선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희관 인천대학교 교수는 “그린 뉴딜과 관련한 성과지표 정리를 통해 사업 추진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며 “중앙부처 공모사업 등에 있어 환경특별시를 위한 인천의 노력들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윤하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폐기물 거점 배출 등을 통한 양질의 자원순환 플랫폼 구축 등 인천형 그린 뉴딜을 위한 새로운 사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 정책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과 탄소배출 감축이라는 축을 기초로 그린 뉴딜을 통해 환경특별시 인천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시는 그린 뉴딜을 통해 신재생 중심 에너지 생산·소비체계 구축, 친환경 모빌리티 확대, 친환경 도시 인프라 구축, 자원순환·대기관리·물관리 체계혁신 등을 추진한다. 또 청정해양 서식지조성, 해양 생태계의 복원·보호, 친수공간 조성, 첨단 그린기술 및 산업 육성, 제조업 친환경 전환지원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