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고통”…목욕업 특별방역대책 첫날, 업계 ‘한숨만’

22일 오후 3시께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의 사우나 탈의실에서 직원이 텅 빈 목욕탕을 바라보고 있다. 장건기자
22일 오후 3시께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의 사우나 탈의실에서 직원이 텅 빈 목욕탕을 바라보고 있다. 장건기자

“코로나 상황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데 규제만 늘어나니…하루하루가 고통이에요.”

22일 오전 9시40분께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A 목욕탕에서 만난 직원 J씨(65ㆍ여)는 정부가 내놓은 ‘목욕장업 특별방역대책’을 듣고 분개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손님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발표한 정부의 특별방역대책이 체감상 추가 규제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J씨가 몸담은 A 목욕탕은 코로나19 사태 전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450명이 찾는 곳이었다. 그러나 지난 1년간 방문객이 하루 평균 130명으로 떨어지고 매출 또한 80% 줄며 곤두박질 쳤다.

J씨는 “방역 수칙을 형평성에 맞게 해야지. 목욕탕에서 개인 용품을 쓰라는 게 말이 되나”라며 “(특별방역대책이) 권고라 하지만 목욕탕에서 1시간 만에 나오라는 것도 너무하다. 때 불리고 미는 것만 해도 1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수원시 장안구 B 사우나도 손님이 없긴 마찬가지였다. B 사우나 주인 R씨(64ㆍ여)는 “규제만 한다고 코로나가 잡히나”라며 “안 그래도 지치는데 (정부가) 믿고 맡겨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안산시 상록구 C 사우나를 운영하는 P씨(45ㆍ여)도 “목욕탕 1시간 이용 권고라고 하지만 이용자 입장에선 권고가 아니라 금지로 느낀다”면서 “이번 정책은 (목욕탕을) 이용해 보지도 않고 시행한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고 비판했다.

최근 경남 진주 사우나 등 목욕탕을 통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정부가 내놓은 ‘특별방역대책’을 두고, 목욕업 종사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가 △1시간 이내 이용 △공용물품ㆍ공용용기 사용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목욕장업 특별방역대책’이 사실상 ‘목욕탕 이용 금지 규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오병현 ㈔한국목욕업중앙회 경기지회장은 “목욕업자 입장에서 정부의 이번 조치는 영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22일 오전 10시께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의 목욕탕에서 손님이 목욕을 하고 있다. 장건기자
22일 오전 10시께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의 목욕탕에서 손님이 목욕을 하고 있다. 장건기자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