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상황이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데 규제만 늘어나니…하루하루가 고통이에요.”
22일 오전 9시40분께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A 목욕탕에서 만난 직원 J씨(65ㆍ여)는 정부가 내놓은 ‘목욕장업 특별방역대책’을 듣고 분개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손님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발표한 정부의 특별방역대책이 체감상 추가 규제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J씨가 몸담은 A 목욕탕은 코로나19 사태 전까지만 해도 하루 평균 450명이 찾는 곳이었다. 그러나 지난 1년간 방문객이 하루 평균 130명으로 떨어지고 매출 또한 80% 줄며 곤두박질 쳤다.
J씨는 “방역 수칙을 형평성에 맞게 해야지. 목욕탕에서 개인 용품을 쓰라는 게 말이 되나”라며 “(특별방역대책이) 권고라 하지만 목욕탕에서 1시간 만에 나오라는 것도 너무하다. 때 불리고 미는 것만 해도 1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수원시 장안구 B 사우나도 손님이 없긴 마찬가지였다. B 사우나 주인 R씨(64ㆍ여)는 “규제만 한다고 코로나가 잡히나”라며 “안 그래도 지치는데 (정부가) 믿고 맡겨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안산시 상록구 C 사우나를 운영하는 P씨(45ㆍ여)도 “목욕탕 1시간 이용 권고라고 하지만 이용자 입장에선 권고가 아니라 금지로 느낀다”면서 “이번 정책은 (목욕탕을) 이용해 보지도 않고 시행한 전형적인 탁상공론”이라고 비판했다.
최근 경남 진주 사우나 등 목욕탕을 통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정부가 내놓은 ‘특별방역대책’을 두고, 목욕업 종사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가 △1시간 이내 이용 △공용물품ㆍ공용용기 사용 금지 등의 내용을 담은 ‘목욕장업 특별방역대책’이 사실상 ‘목욕탕 이용 금지 규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오병현 ㈔한국목욕업중앙회 경기지회장은 “목욕업자 입장에서 정부의 이번 조치는 영업을 하지 말라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장건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