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오는 8월부터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로 운영하는 광역버스 71개 노선 610대를 ‘공공버스’로 전환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정부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산부담 합의 미이행으로 당초 계획보다 늦어진 데 따른 조치로, 경기도는 우선 공공버스로 전환한 뒤 내년 국가 사무로 이관한다는 계획이다.
공공버스는 경기도가 민선 7기 들어 전국 최초로 시행한 것으로 한정면허와 노선 입찰제 기반의 새로운 준공영제다. 버스업체가 영구면허를 소유하는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와 달리 공공이 노선권을 소유하고 공개 경쟁입찰로 선정된 운송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운영권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운영, 공공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도는 다음 달부터 입찰 공고, 사업자 선정, 면허 발급, 운행 준비 등의 절차를 밟아 8월1일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사업비는 231억원으로, 이 중 도비로 69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또 올해 정부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대상 18개 노선을 전부 경기도 공공버스 신규노선으로 신설하며 시·군 공모 후 심사를 통해 신설노선을 선정할 계획이다.
박태환 경기도 교통국장은 “경기도 공공버스는 정부에서도 채택할 정도로 버스제도의 불합리를 합리로, 불공정을 공정으로 바꾸는 국가표준이 됐다”며 “앞으로도 경기도 공공버스가 도민의 발이 돼 편리하고 쾌적한 교통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