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정국 주도권을 가를 4·7 재보선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28일 여야가 당력을 집중, 범진보 대 범보수 진영 간 진검승부가 펼쳐지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 사건 등으로 수세에 몰린 더불어민주당은 지지층을 총결집해 분위기 반전을 모색하고 있고, ‘정권 심판론’을 외치는 국민의힘은 반드시 승리해 정권교체의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각오다.
현재까지 초반 여론조사상으로는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가 각각 민주당 박영선 후보, 김영춘 후보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한 모습이다. LH 사태와 부동산 정책 후유증으로 여권 지지율이 하락한 데다 야권의 후보 단일화 영향까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남은 기간 4·7 재보선의 승패를 가를 최대 변수는 부동산 민심이다. 전국적인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이미 불만이 쌓인 데다 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더욱이 정부·여당이 공공주도 개발사업을 통해 집값을 잡겠다고 외치던 상황에서 이 같은 사태가 발생, 민심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국회의원 전수조사, 특검 수사 등의 카드를 던지는 동시에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의 내곡동 땅 투기 의혹, 박형준 후보의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을 집중 부각하며 반전을 노리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일본 도쿄에 보유했던 아파트 문제, 문재인 대통령의 사저 부지 농지 취득 의혹 등을 겨냥하고 있다. 만약 그동안 제기된 의혹을 뒷받침할 결정적 증거가 나올 경우 선거 판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번 선거가 문재인 정부 5년차에 치러지는 가운데 여당의 국정 안정론과 야당의 정권 심판론 중 어떤 전략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느냐도 핵심 변수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탄핵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면서 지난해 실시된 21대 총선에서도 고전했다. 하지만 이번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가 민주당 소속 전임 시장들의 성 비위 사건 등으로 치러지는 만큼 민심 이반이 감지된다. 국민의힘은 재보선에서 이겨 차기 대선까지 승기를 이어가겠다며 벼르고 있고, 민주당은 읍소 전략을 통해 얼어붙은 민심을 추스르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여야가 얼마나 지지층을 결집하느냐도 주요 변수로 꼽힌다. 각 진영의 열성 지지자들이 얼마나 투표장에 나올지가 당락을 좌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민주당은 “이명박(MB) 정부 시절로의 회귀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여권 지지층 결집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재보선이 통상 30% 남짓의 낮은 투표율을 보여왔다는 점에서 조직표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투표율이 높아질수록 유리할 것으로 판단, 중도층의 지지를 끌어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