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국공립어린이집 150곳을 확충하고 신혼부부·청년·고령자를 위한 행복주택 3천여호를 추가 공급한다.
경기도는 29일 인구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경기도 저출생·고령사회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도는 국공립 어린이집을 지난 2018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150곳씩 모두 1천500여곳을 확충,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까지 3년간 468곳을 신설했으며, 올해부터 7년간 1천50곳을 더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사회복지법인과 가정어린이집을 매입하거나 공동주택 관리동에 설치된 어린이집을 무상임대 받아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개인 소유 민간어린이집은 5~10년 장기 임차해 활용하거나 농어촌·저소득층 지역의 경우 신축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사업인 경기행복주택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1만656호(신혼부부 5천호·청년 3천호·고령자 및 수급자 2천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해까지 3천202호를 건립한 데 이어 올해는 6개 지구에 3천356호를 착공한다.
이와 함께 도는 2016년부터 시작한 청년노동자 통장 사업(재직 중 매달 10만원씩 저축하면 월 14만2천원 지원금을 합쳐 2년 후 580만원 목돈 마련), 산후조리비 사업(출생아 1인당 50만원 지역화폐 지원)도 지속해서 운영한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