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 이후 대권 주자들의 행보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이번 선거의 최대 수혜자가 될 전망이다. 이재명 지사의 경우 지난해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문제를 놓고 원칙을 강조한 데다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당내 후보들을 측면 지원, 명분과 실리를 모두 얻었다는 분석이다.
앞서 이재명 지사는 지난해 7월20일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후임자를 선출할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여부를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논란이 일자 ‘무공천 의견’을 내놓으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이 지사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서울시장 및 부산시장 보궐선거와 관련 “(민주당이) 아프고 손실이 크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게 맞다. 공천하지 않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는 원칙적 의견을 냈다. 이후 이 문제에 대한 당내 논란이 커지자 한발 물러서긴 했지만 이 지사의 원칙론적 입장은 중도 성향 유권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줬다.
특히 이 지사는 지난해 11월 민주당이 전 당원 투표를 통해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로 한 데 대해 “정당이라고 하는 게 다양성은 보장하되 결정되면 일사불란하게 같이 해줘야 한다”고 수긍했고, 선거 땐 간접적인 방식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는 현직 광역단체장으로 선거중립 의무가 있는 이 지사 개인적으로는 부담스러울 수 있는 행보다.
이 지사는 지난달 31일 부산 중구에서 열린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 후원회 사무소 개소식에 깜짝 방문하는가 하면 지난달 24일엔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와 국회에서 1시간가량 ‘커피 타임’을 가졌다. 이 지사는 두 후보를 만난 자리에서 공직선거법을 의식한 듯 별도의 정치적 발언은 하지 않았지만 당내에선 이 지사가 측면 지원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 지사와 가까운 민주당 정성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양주), 김영진 원내총괄수석부대표(수원병), 국회 정무위 여당 간사인 김병욱 의원(성남 분당을), 임종성(광주을)·김남국(안산 단원을)·이규민 의원(안성) 등이 서울·부산을 누비며 총력 지원에 나선 점도 향후 대선 후보 경선 레이스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지사의 경우 선거 내내 ‘정권 심판론’의 ‘방아쇠’ 역할을 한 집값 상승,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 등과 거리가 있어 비교적 책임론에서 자유롭다.
당내 대권 경쟁자로 문재인 정부 전·현직 국무총리를 지낸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총리와는 처지가 다른 셈이다. 당 관계자는 “이 지사가 이번 선거 과정에서 명분과 실리를 모두 얻었다고 본다”며 “향후 본격화할 대권 경쟁 국면에서 호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