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서울시와 얽힌 수도권매립지나 광역철도 등 현안 사업에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당선한 국민의힘 오세훈 시장이 자칫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남춘 시장과 다른 정무적 판단을 할 경우 현안사업 난항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날 내부적으로 서울시과 협의가 필요한 현안 등에 대한 분석에 돌입했다. 앞으로 각 사업의 전망과 이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 나겠다는 것이다.
현재 인천시는 가장 큰 현안으로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를 꼽고 있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달 30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서울에 쓰레기를 매립할 장소가 없어 인천시와 협의해 연장할 것이란 뜻을 전했다. 당시 박 시장은 그의 주장에 반박하는 입장을 밝히며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이미 오 시장은 지난 2010년 민선5기 서울시장 취임 당시부터 수도권매립지 연장 사용에 대한 입장을 고수해 왔다.
여기에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 사업도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는 지난 2월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인천·경기지역에 신규 철도를 연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따라 서울 도시철도 2·5·7·9호선 등을 인천으로 연결하려던 인천시의 계획도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이러한 서울시의 입장이 뒤바뀌기 위해서는 오 시장의 정무적 판단이 중요하다.
이미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사업은 차량기지와 비용 분담 등의 문제를 풀지 못하고 서울시장 취임 이후로 협의를 늦춘 상태다. 서울시는 7호선에 (가칭) 봉수대로역을 신설하는 조건으로 인천시에 1조원이 넘는 차량 기지를 요구했다. 당시 지역 안팎에서는 이러한 서울시의 요구를 두고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 2025년 사용 종료에 대한 보복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새로운 서울시장의 판단에 따라 일부 광역 현안에 영향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아직은 개별 사안에 대해 입장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섣불리 판단하지 않고 서울시와 적극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환경부·서울시·경기도 등은 수도권매립지 협의회에서 인천시의 특별회계 사용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지만, 뚜렷한 대책 및 결론을 내지는 못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