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세훈 시장에게 다시 물어보자/‘연결 막은 철도 원칙’ 유효한가

지난 2월 경기도민이 깜짝 놀랄 발표가 있었다. 서울시가 밝힌 ‘도시 철도 연장 및 광역 철도 추진 원칙’이다. 앞으로 서울시계 외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연결은 직결 운영이 아닌 평면 환승을 원칙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를 통해 노선의 직결 연장 구간을 운영한 탓에 재정 적자가 심각하다는 점을 이유로 설명했다. 경기도 또는 인천시와의 협의는 물론 사전 통보도 없이 발표된 내용이다. 적잖은 시민이 놀랐다.

원칙대로 적용하면 경기도와 인천시의 철도 교통 구축 청사진이 흔들릴 수 있다. 경기도는 당장 7호선 연장(양주~포천), 4호선 연장(남양주~별가람), 9호선 연장(강일~구리), 3호선 연장(하남), 서부선 연결(고양) 등이 영향을 받을 대상이다. 인천시도 여러 곳이다. 서울지하철 2·5·7·9호선의 인천 연장과 인천지하철 2호선의 독산 연장이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D 노선도 영향권일 수 있다. 아우성이 날만도 하다.

당시 우리는 한 가지 부조화를 지적했다. 시장 대행 체제와 발표 내용의 불일치다. 당시 서울은 선출직 시장이 없다. 광역 교통 행정은 지자체간 이해가 얽히는 영역이다. 더구나 각자가 대권 후보라 하는 경기지사, 서울시장, 인천시장이 관리하고 교류하는 분야다. 늘 고도의 정치적 결단과 복잡한 표 셈법이 결부됐다. 이런 철도 정책을 한꺼번에 뒤집는 변화를 대행체제가 할 수 있는지를 물었다. 격이 아니라 현실에 입각한 질문이었다.

오세훈 시장 체제가 시작됐다. 그의 생각을 들어야 한다. 2월 발표 철도 원칙이 유효한지, 바꿀 것인지, 바꿀 용의는 있는지 물어야 한다.

경기도와 인천시에 했던 주문도 있다. 당시 서울시 발표에 호들갑 떨 필요 없다고 했다. 4ㆍ7 재보선 뒤 큰 틀의 협의로 풀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경기도, 인천에 예정된 광역 철도 연장 계획 대부분이 단체장 간의 약속이었다. 고(故) 박원순 전 시장과 경기지사ㆍ인천시장의 약속이었다. 무 자르듯 잘라 낼 일이 아님을 강조했었다. 더구나 이런저런 기피시설을 경기도에 의존하고 있는 서울시고 보면 더 그렇다. 이제는 대화할 때가 됐다.

‘오세훈 시장’ 서울시에 다시 물어야 한다. 필요하면 협의하고, 이견 조율에 나서야 한다. 신도시만 늘리면서 철도 연결 안 하면 어쩌자는 건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