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센 가운데 22일 신규 확진자 수가 735명을 기록했다. 전날에도 731명이 발생, 이틀 연속 700명대를 이어가고 있는데 정부는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추가 방역 조치에 신중한 입장이다.
국민들은 불안하다. 확진자는 늘어나는데 백신 도입이 차질을 빚고, 접종도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접종 후 이상반응을 호소하는 이들도 많다. 인과성은 미확인 됐지만 백신 접종후 이상반응 가운데 사망 사례가 52건이다. 정부가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대응체계를 보완해야 한다. 백신과의 인과성 인정 전에라도 중증 이상반응인 경우 대응법 안내와 치료를 포함한 밀착 지원을 제공하는 등 국가 책임을 높여야 한다.
정부가 ‘11월 집단면역’ 목표를 세웠지만 지금 상황으로는 백신수급 지연과 부작용 이슈 등으로 가능성이 희박하다는게 전문가 의견이다. 코로나19 대확산기인 겨울 전 접종을 마무리하려는 미국과 유럽 등 북반구 국가들의 백신 수요가 커지면서 전세계 백신 수급에 비상등이 켜졌다. 우리나라도 백신 도입 일정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2분기 도입이 계획됐던 모더나, 노바백스 백신의 공급 일정이 3~4분기로 밀린 상황이다.
국제 통계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16일 기준 인구 대비 최소 1회 접종률이 한국은 2.95%에 불과하다. OECD 37개 회원국 가운데 35번째로 최하위권이다. 정부가 확보했다는 백신은 7천900만명분이지만 제대로 들어올지 의문이다. ‘희귀 혈전증’ 부작용이 야기된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백신의 불확실성에 더해 세계의 백신 공장인 인도가 문을 닫았고, 미국은 자국민에게 3차례 맞혀야 한다며 백신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현재로선 외교적 전술이 유일한 해결책이란 시각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러시아산 ‘스푸트니크V’ 백신의 도입 가능성에 대해 점검 지시를 내렸다. 민주당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당권 주자인 송영길 의원도 ‘플랜 B’ 차원에서 스푸트니크V 백신 도입 필요성을 제기했다. 앞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지난주 상임위원회에서 러시아산 백신 도입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신 수급 및 접종 문제는 외교력 등 국가 역량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정부는 가능한 모든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우왕좌왕하는 백신 정책에 국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문 대통령이 백신 예방접종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강화하겠다고 했는데, 일선 현장에선 지자체별로 접종 속도가 다르면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란 우려다. 청와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백신 수급 및 접종 계획을 새로 짜야 한다. 백신 확보에 기업 등 글로벌 인맥, 외교력을 총동원 하길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