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다 암 걸린 사람 찾아요”…대규모 ‘산재 신청’ 이뤄지나

전국 노동시민단체 직업성 암환자 모아 집단 산재 신청키로해

전국 노동시민단체들이 숨겨진 ‘직업성 암 환자’를 모아 집단 산업재해를 신청키로해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직업성 암에 걸린 포스코 근로자의 사례가 잇따르자 정부가 3년에 걸쳐 철강제조업 집단 역학조사에 나선 상황에서, 국내 직업성 암 실태 공론(公論)을 본격화하자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직업성ㆍ환경성암환자찾기119와 보건의료ㆍ학교비정규직ㆍ화학섬유노조는 28일 ‘전국 직업성ㆍ환경성 암환자 찾기 운동’ 선포식을 갖고 “정부는 직업성 암 실태를 전수조사해 산업재해로 인정하라”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에선 직업성 암으로 인정받는 환자 수 자체가 적고, 각 사업장에서 발암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제도도 미흡하기 때문에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일례로 수원의 한 중학교에서 근무한 조리실무사 A씨는 2017년 폐암에 걸려 1년 뒤 사망했는데 3년이 지난 올해 2월에야 업무상재해로 인정받았다. 관련 단체들은 A씨처럼 직업성 암에 걸린 근로자 중 산재에 해당해 보상을 받는 비율은 5%도 채 안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직업성암119는 전ㆍ현직 근로자 중 직업성 암 환자 100명을 추려 내달 26일 집단 산재 신청을 하기로 했다. 현재까진 17명이 모인 상태다.

구체적으로 노동시민단체들은 5월 한달간 보건의료분야에선 각종 의료행위ㆍ심야노동에 의한 혈액암과 유방암 환자, 학교비정규직분야에선 식당 및 급식노동에 의한 폐암 환자, 화학섬유분야에선 플라스틱ㆍ식품 가공에 의한 혈액암과 폐암 환자 등 찾기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직업성암119 관계자는 “직종별, 지역별 감춰진 직업성 암 환자 찾기 운동은 시대적 요구”라며 “사업장 발암물질 안전관리제도와 직업성 암 피해자 보상 및 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전환점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