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안 광역급행철도(GTX)-D 노선에 김포 장기와 부천종합운동장을 연결하는 구간만 반영됐다.
국토교통부는 29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2차 광역교통 기본계획(2021~2040) 및 제4차 광역교통 시행계획(2021~2025)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본계획안과 시행계획안을 발표했다.
광역교통 기본계획은 20년 단위로 권역별 광역교통체계 개선 방향을, 광역교통 시행계획에는 기본계획 추진에 따라 5년 단위로 광역교통시설 확충 방안을 담게 된다. 공청회에서 공개된 안은 초안 성격으로 비록 확정된 내용은 아니지만, 사업 추진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인 GTX-D는 장기∼부천종합운동장만을 연결하는 것으로 광역교통 시행계획안에 포함됐다. GTX-D 노선이 서울 강남ㆍ하남과 직결되기를 바랐던 경기도나 인천시의 노선안보다는 대폭 축소된 것으로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청회에서 온라인 참가자들은 해당 노선을 ‘김부선’이라고 부르며 기존 방안이 고수된 데 대해 반발했다.
또 수도권 광역 BRT(간선급행버스) 신규 사업으로는 성남∼복정역BRT(복정역∼남한산성입구), 청량리∼도농∼평내호평 광역BRT(청량리∼평내호평역), 계양·대장 광역 BRT (계양∼부천종합운동장역, 박촌역∼김포공항역) 등이 시행계획안에 포함됐다.
아울러 수도권 환승센터는 동탄역·부천종합운동장역·의정부역·덕정역·부평역·인천시청역·인천대입구역·초지역·구리역·아주대삼거리역 등이 신설되고, 상업시설 등이 함께 조성되는 복합환승센터는 용인역·금정역·대곡역·인덕원역 등에 구축된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