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정부가 오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한 인천~안산 구간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장기화할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인천시가 현안을 해결하려 민·관협의회 태스크포스(TF)를 꾸렸지만, 각 기관 및 환경단체 등 간 입장차를 좁히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3일 시에 따르면 오는 7일 제2순환선 민·관협의회 TF의 첫 회의를 열고 송도 갯벌(습지) 통과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날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등 정부 기관과 환경·해양·도로관련 전문가, 환경단체, 시민 등 총 23명이 참여한다.
논의의 핵심은 국토부가 추진하는 제2순환선 1공구(시화~남송도IC·7.52㎞)와 2공구(남송도IC~인천남항·12.28㎞) 중에 2공구 건설 구간이 갯벌을 통과하는 문제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찾는 것이다. 앞서 환경단체는 제2순환선이 갯벌을 통과하면 8공구 앞 습지보호지역 2.5㎢ 의 훼손이 발생하는 만큼, 해저터널 및 우회노선으로 변경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민·관협의회에서 대안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시는 송도 갯벌 훼손을 막기 위해선 2공구 갯벌 통과 구간의 계획을 해저터널 및 우회노선으로 변경하면 공사비가 각각 4천억원, 3천억원이 증가해 국토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시는 해저터널·우회노선 모두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송도분기점(JCT) 설치 및 연결이 이뤄질 수 없기에, 전체적인 통행량이 15% 이상 줄어든다고 분석하고 있다. 공사비는 늘어나면서도 통행량이 줄어들면 사업성이 떨어진다. 시는 이로인해 비용대비 편익(B/C)값이 종전 1.01에서 각각 0.69, 0.72로 떨어지기에 사업 추진이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다. B/C값이 1 이상 나와야 경제성이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논의가 장기화 할 것으로 보고, 아예 오는 11월까지 매달 민·관협의회를 열기로 했다. 또 필요하면 민·관협의회를 계속해서 연장할 계획도 갖고 있다.
다만 시는 사업의 시기성 등으로 인해 1공구만 우선 추진하는 방안도 찾을 예정이다. 현재 1공구는 올 상반기 중 기본·실시설계 등을 시작하면 인허가 과정 등을 거쳐 2023년께 착공할 예정이다. 2공구는 환경단체 반발로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협의회를 통해 송도 갯벌 관통 문제에 대한 합의점을 찾아야 하는데, 참여기관 별 입장차가 너무 크다”며 “자칫 장기화할 가능성까지 염두해두고 있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