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발달장애인이 2만5천여명에 달하지만, 이들을 위한 평생교육센터는 서구에 단 1곳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는 발달장애인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 지역사회에서 상생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시설이다.
5일 인천시에 따르면 각 구별 발달장애인 수는 부평구 4천827명, 남동구 4천610명, 서구 4천126명, 미추홀구 3천802명, 계양구 2천675명, 연수구 2천601명 등 총 2만5천751명이다.
하지만 센터는 서구에 1곳 밖에 없다보니 수용 인원이 적은 주간·단기보호시설 등의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발달장애인은 갈 곳이 없다.
A씨는 지난해 자폐성 장애와 청각장애가 있는 22세 아들을 부평구와 계양구 등의 주간보호센터에 입소시키려 했지만, 번번이 거절당했다. 장애 정도가 심하다는 이유로 전화 상담에서부터 입소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A씨는 “주간보호센터 등은 사회성평가, 직업평가 등 장애 정도를 엄격히 따져 번번이 거절당했다”며 “입소조건이 수월한 발달장애인 센터가 꼭 필요하지만 군·구에서는 만들 생각도 안 하고 있다”고 했다.
이렇다 보니 인천에서 유일한 서구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에 입소 지원이 몰리고 있다. 이곳은 2019년 최초 모집 당시 총 정원 70명 모집에 198명이 지원, 2.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타 지역 신청자도 83명에 달했다.
기초단체들은 센터가 기피시설인데다, 예산 부담이 커 시설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센터를 만들기 위해 최소 500㎡ 이상의 면적이 필요한데, 건물 임대인들이 장애인시설이라는 이유로 거절하기 때문이다. 해마다 3억원에 달하는 운영비도 부담이다.
김용득 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임대인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식 개선 교육 등을 추진하는 등 시민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인천시는 부지선정, 재정부담 등 기초단체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상반기 공모를 추진하고, 군·구의 애로사항을 듣겠다”며 “이를 통해 센터 설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