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3년 인천 인구 300만명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5일 시에 따르면 인천의 인구는 지난 2019년 5월 295만7천179명(외국인 제외)으로 최고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인구가 계속 줄어들어 지난해 6월엔 294만7천217명으로 떨어진 상태다. 지난달 기준으로 인천의 인구는 또 줄어 293만6천214명이다.
시는 지난 2018년 행정안전부의 행정기구 설치 기준과 인천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등에 따라 인구가 2년 연속으로 증가하고 295만명을 넘어서자 실·국을 확대해 17개 실·국·본부의 조직을 구성했다. 그러나 현재 시는 인구가 다시 줄어든 만큼 조직 규모를 도로 축소해야 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이에 시가 최근 미래 인구 증감 등을 분석한 결과, 인천은 내년에 295만명 이상으로 인구가 늘어나고 2023년에는 300만명을 뛰어넘을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인구는 주택공급 등의 이유로 늘어나는데, 인천은 검단신도시 등에 내년 2만가구, 2023년 2만가구의 주택공급이 이뤄진다.
시는 주택공급에서 지역 내 이동을 빼더라도 5만명 이상의 인구 유입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인천에 사는 외국인까지 포함하면 인구가 300만명이 넘지만, 2023년에는 순수 내국인만 300만명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했다.
시는 이 같은 분석을 근거로 당초 행안부에 실·국 축소를 미루자는 건의를 하려다 전면 백지화했다. 공무원 조직을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바꾸는 혁신을 추진키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혁신이 이뤄지면 실·국을 축소해도 정책·행정서비스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현재 일자리경제본부의 산업정책관과 주택녹지국 등을 없애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주택녹지국의 ‘주택’ 기능을 도시재생의 역할과 시너지를 내도록 도시재생국으로 합치고, 종전 도시재생건설국의 ‘건설’ 기능을 교통국으로 통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또 ‘녹지’ 기능은 환경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시는 인천의 최대 현안인 자원순환정책 관련 업무 등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조직 개편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도권매립지의 2025년 사용 종료와 함께 지역 내 광역소각장 설치, 해양쓰레기 처리 등 포괄적인 환경 이슈를 다루는 기구를 창설하는 방안이다. 시는 이 기구를 한시기구로 구성하기로 하고 행안부와 협의를 이어나가고 있다.
시 관계자는 “행정 조직의 유사 기능 통합과 전문성 강화가 핵심”이라며 “현재 전반적인 조직 진단을 하고 있으며, 실·국 축소 방안 등은 확정 사항이 아니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