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부패 척결...경기도 안전감찰 지역전담기구 만든다

경기도가 안전부패 척결을 위한 전담기구를 구성, 불합리한 안전제도 개선과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경기도 안전감찰 지역전담기구 협의회 구성 및 운영계획(안)’을 수립해 안전부패와 관련된 관계기관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이 협의회는 안전과 관련된 부패행위 감시 기능 등을 총괄하는 도 차원의 협의체다. 주요 기능으로는 ▲안전감찰 기구 간 조사계획ㆍ활동 등의 협조 ▲안전감찰 활동 개선 및 처분기준에 관한 사항 ▲안전감찰기구 운영, 중복조사 방지 등 효율적 안전감찰 활동에 관한 사항 등이 있다.

해당 협의회는 경기도, 용인도시공사, 수원도시공사, 의정부시시설관리공단, 용인경량전철㈜ 등 도내 67개 기관으로 구성될 예정으로 행정1부지사를 위원장으로 하고 시ㆍ군 부단체장과 지방 공기업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협의회가 구성되면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안전분야 반부패 개념을 공유하게 되고 협업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부패 사례를 발굴한 뒤 분야별 실태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후 취약분야 기획감찰 등이 이뤄지며 그 결과에 따라서 처분이 진행, 안전부패 가능성을 뿌리 뽑는다.

경기도는 이 같은 협의회 구성을 통해 도 전반에 대한 안전분야 반부패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고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합동 불시감찰 등을 통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극대화하고 불합리한 안전제도 개선도 이끌어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도민이 안전분야 부패 근절로 인해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체감할 수 있도록 성과중심의 홍보도 병행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경기도 안전감찰 지역전담기구 협의회’를 늦어도 6월께는 출범시킬 예정이며 기관별 안전분야 중점과제는 7월에 선정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협의회가 근절되지 않고 반복되는 감독기관과 민간업체와의 유착비리를 없애고 상시적인 안전관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