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기후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구축하는 방안으로 ‘수소경제’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국, 유럽연합 등이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제품에 탄소세를 부과하고 탄소배출 기업을 공급망 밸류체인에서 배제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우리 정부와 기업도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소산업 구조가 취약하다. 기술 경쟁력도 미흡하다. 수소산업 발전을 위해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다. 특히 민간기업과 대학의 연구개발(R&D) 및 인재 육성을 위한 자금 지원이 시급하다. 수소 분야는 이제 산업화를 모색하는 초기단계라 정부가 과감한 지원으로 핵심기술 개발과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수소 특성화 대학 설립 등을 통한 인재 개발, 수소도시법 등 법ㆍ제도 정비, 열세인 수소 생산과 충전·저장 분야 육성, 인허가 규제 완화 및 특례 허용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가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보급, 수소충전소 1천200곳 구축 등을 포함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현재 일부 지자체가 수소충전소 등 개별 인프라 설치 위주로 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경제성 미확보, 주민 호응 저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법적ㆍ제도적 기반이 경쟁국에 못 미치고 각종 인프라 부족이 원인이다.
경기도가 ‘지역 맞춤형 수소융합 테마도시’를 조성한다. 도는 ‘수소융합 테마도시 프로젝트’의 하나로 안산 수소시범도시 조성, 평택 수소교통복합기지 및 수소생산시설 구축, 경기도형 수소융합클러스터 발굴 등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안산의 수소시범도시는 전국 최초다. 지난해부터 290억원을 들여 조성 중으로 2022년 완공 예정이다. 안산도시개발(주) 부지 내 LNG를 활용한 수소생산시설을 설치해 교통(수소버스·충전소), 주거(수소연료전지발전을 통한 열·전기 공급), 산단(연료전지·수소지게차, 시화호 조력발전소 잉여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수소생산 실증) 에너지원으로 수소를 활용하는 내용이다.
평택에는 물류·교통 중심지인 평택항에 수소생산시설을 올 하반기 조성하는 가운데 수소차량정비 등 부대시설을 집적화하면서 수소 교통 효과성을 검증하는 복합 인프라를 구축한다. 도는 수소 산업 전반을 개발·실증·활용할 특화 산업단지 개념인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 발굴·육성’도 추진 중이다. 또 경기도형 친환경 수소교통모델 발굴 등 후속 사업을 이어갈 방침이다.
경기도는 인구(25%), 제조업체(35%), 자동차(24%) 등 전국에서 수소 수요가 가장 큰 지역이다. 경기도가 청정 에너지원인 수소를 중심으로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성해 국내 수소 산업을 선도하기를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