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근로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인천형 자립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10일 시에 따르면 인천형 자립일자리 사업은 민간과 지자체가 협업해 저소득층에 일자리를 지원하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1월~올해 3월 정부가 운영한 내일키움일자리사업을 인천에 맞게 보완한 것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강조한 인천복지기준선 사업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번 사업에서는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같은 사회적 경제조직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지역아동센터 등 사회복지시설이 시와 손을 잡고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3~4월 시가 일자리제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참여 수요조사를 한 결과 45개 기관에서 114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주로 돌봄서비스, 집수리, 건물 청소, 도시락 제조 등의 일자리며 8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한다.
특히 인천형 자립 일자리 사업은 참여 기준을 확대해 중위소득 50~75% 사이 계층이 모두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자활근로사업이 중위소득 50% 이하 계층만 참여할 수 있다.
또 최저임금 수준에 맞춰 월 182만원을 지급하기 때문에 복지부가 지급하는 자활급여(월 65만~137만원)에 비해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임금 지급을 위해 필요한 예산은 시가 70%, 일자리제공기관이 30%를 나눠 부담한다.
시는 사업비 7억5천300만원을 들여 오는 8월부터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해마다 120명을 선발해 참여케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7월 인천광역자활센터를 통해 전담관리자를 채용하고 일자리 제공기관과 참여자를 모집·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자활근로사업 참여나 민간영역 취업이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근로 기회를 제공하고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경기가 위축하고 취업자 수가 줄어드는 등 근로빈곤층이 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번 사업을 통해 이러한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