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오는 2025년까지 인천형 자립일자리사업 추진

인천시가 근로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인천형 자립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10일 시에 따르면 인천형 자립일자리 사업은 민간과 지자체가 협업해 저소득층에 일자리를 지원하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1월~올해 3월 정부가 운영한 내일키움일자리사업을 인천에 맞게 보완한 것이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강조한 인천복지기준선 사업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번 사업에서는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같은 사회적 경제조직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지역아동센터 등 사회복지시설이 시와 손을 잡고 일자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 3~4월 시가 일자리제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업참여 수요조사를 한 결과 45개 기관에서 114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했다. 주로 돌봄서비스, 집수리, 건물 청소, 도시락 제조 등의 일자리며 8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한다.

특히 인천형 자립 일자리 사업은 참여 기준을 확대해 중위소득 50~75% 사이 계층이 모두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자활근로사업이 중위소득 50% 이하 계층만 참여할 수 있다.

또 최저임금 수준에 맞춰 월 182만원을 지급하기 때문에 복지부가 지급하는 자활급여(월 65만~137만원)에 비해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임금 지급을 위해 필요한 예산은 시가 70%, 일자리제공기관이 30%를 나눠 부담한다.

시는 사업비 7억5천300만원을 들여 오는 8월부터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해마다 120명을 선발해 참여케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7월 인천광역자활센터를 통해 전담관리자를 채용하고 일자리 제공기관과 참여자를 모집·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자활근로사업 참여나 민간영역 취업이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근로 기회를 제공하고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경기가 위축하고 취업자 수가 줄어드는 등 근로빈곤층이 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번 사업을 통해 이러한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