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평범한 동굴로 해냈던 ‘관광’ 광명시/‘세계 최고 꿈’ 백지화로 신뢰 잃다

광명시의 꿈 하나가 사라졌다. ‘목조 전망 타워’ 건립 사업이 백지화됐다. 세계 최고 높이로 추진되던 건축물이다. 시가 이 사업의 백지화를 공식 발표했다. 사업비로 지원받았던 국비 40억원도 반납한다고 밝혔다. 타워는 광명시가 2018년부터 추진해왔다. 산림청 공모 사업에 선정되면서다. 광명동굴 인근에 높이 90m, 총 면적 690㎡ 크기로 설계됐다. 광명시의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될 거라며 많은 홍보를 했다.

백지화 사유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지연인듯싶다. 시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에 앞으로 길게는 3년까지 더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망 타워 건립 사업을 백지화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주장대로면 사업 추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이 막힌 것이다. 관계자는 아쉬움을 토로한다. 재추진에 대한 미련도 말한다.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이 사업을 재개할 방침”이라고 했다. 그럴 가능성도 없진 않다.

그런데 처음부터 의구심을 갖게 한 구석이 있었다. 이 전망 타워는 순수 목재로 만드는 건축물이다. 산림청이 함께 머리를 맞댄 것도 그래서다. 그런 만큼 현실화에 여러 제약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여기에 행정 절차까지 처음부터 매끄럽지 않게 갔다. 애초 계획은 2021년 말 완공 및 개관이었다. 이게 2022년 상반기로 연기됐다. 그때 사유도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 지연이었다. 백지화 사유와 같다.

같은 문제를 2년 끌다 포기한 것이다. 백지화로 광명시는 많은 것을 잃었다. 그동안 투입한 설계비 등 2억여원이 사라졌다. 반환해야 할 국비 40억원도 보이지 않는 손해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손실은 시민에 준 실망이다. 산림청과 한 사업이었다며 한 발 뺄 일이 아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라는 국가 사무의 한계라고 변명하면 안 된다. 하겠다고 선언했던 게 광명시다. 두 손 들고 포기한 것도 광명시다. 다 광명시 책임이다.

지방자치 이후 지자체에 생긴 고질병이 있다. ‘세계 최고’에 대한 의미 없는 집착이다. 기네스북 등재에 소진된 행정력이 숱하다. 광명시의 이번 실패에도 그런 과욕이 있지 않았나 자성해야 한다. ‘현재 세계 최고 80m를 뛰어넘는 높이 90m의 세계 최고 건축물 건립’이라는 결과에 매몰된 구상 아니었나 생각해 볼 일이다. 혹여 그런 측면이 있다면 이제라도 잊는 것이 좋다. ‘추후 재개’라며 희망 고문 사서 할 필요 없다.

지상 500m가 넘는 롯데 월드 타워가 있다. 100m 이상을 치고 올라간 건물은 즐비하다. 목조로 지었다는 사실 외 주목할 것 없는 90m 건축물이었다. 관광객이 구름처럼 몰렸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도 없다. 공교롭게 예정 부지 옆에 광명 동굴이 있다. 그저 버려진 흔한 탄광 동굴이었다. 그 평범함에 아이디어와 행정력이 투입돼 관광 기적을 이뤘다. 거기엔 세계 최고 목표도, 전국 최대 목표도 없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