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가 최근 인천 영종도의 구읍뱃터에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을 다시 지정하자 지역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1일 인천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의 질병관리청은 지난 8일 중구 영종도 구읍뱃터에 있는 457실 규모의 로얄엠포리움호텔을 코로나19 임시생활시설(병상 426실 규모)로 지정했다. 질병청은 인도 등에서 온 해외입국자가 급증하자 코로나19 고위험 변이바이러스의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이 호텔을 임시생활시설로 지정했다.
그러나 영종주민들은 질병청의 이번 임시생활시설 지정을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주말마다 구읍뱃터를 찾는 관광객이 많은 만큼, 임시생활시설 지정으로 일대 상권이 주저앉을 것이 뻔하다는 게 반발의 이유다.
지난 9일 주민들은 해외입국자의 시설 입소를 앞두고 버스와 트럭 등을 동원해 길목을 막아섰다가, 출동한 경찰에 겨우 물러서기도 했다. 주민 A씨는 “지난해 임시생활시설 지정으로 인한 각종 피해를 호소하며 반대운동을 했고, 당시 복지부가 더는 지정하지 않겠다고 약속을 했다”고 했다. 이어 “이런 데도 사전 협의 없는 이 같은 행태가 어처구니없을 뿐”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해 6~8월에도 복지부는 이 호텔을 임시생활시설로 지정·운영한데 이어 다시 추가 운영을 추진하려 해 강력한 주민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이후 민·관 협의를 했으나 관리 주체가 해양수산부로 바뀌면서 임시생활시설 재지정이 백지화했다.
또 복지부는 지난해 10월 다시 이 호텔을 임시생활시설로 재지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또다시 주민 반대가 불거지자 추가 지정이 없을 것이라는 약속으로 논란을 잠재우기도 했다.
주민들은 최근 영종지역에 종합병원 설립 및 감염병전문병원 유치 등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시생활시설이 들어서자 큰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해 질병청 관계자는 “인도에서 코로나19 대확산으로 이달에만 약 2천300명의 교민 등이 입국하는 등 갑작스러운 상황이 발생해 긴급하게 (임시생활시설 지정을) 추진했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 주민 반대와 상인 피해 관련 인지와 사전 검토가 부족했다”며 “엄중한 상황인 만큼 주민 양해를 부탁한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