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차세대형 D램 메모리 신기술 개발

업계 최초 CXL 기반… 데이터센터 성능 개선

삼성이 데이터센터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차세대 인터페이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Compute Express Link)’ 기반 D램 메모리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새로 개발한 CXL D램 기술은 인텔 플랫폼에서 검증을 마쳐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대용량 D램 솔루션 기술을 확보했고, 삼성전자는 글로벌 주요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업체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가 늘면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처리 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기존 DDR 인터페이스로는 시스템에 탑재할 수 있는 D램 용량에 한계가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CXL D램을 개발했다.

CXL은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CPU(중앙처리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인터페이스로, 기존 시스템 메모리 용량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해 D램 용량을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기업용 서버 CPU는 D램 모듈을 최대 16개까지 탑재할 수 있는데, 새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CXL D램은 기존 DDR D램에 더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박철민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상무는 “삼성전자의 CXL D램 기술은 차세대 컴퓨팅, 대용량 데이터센터, 인공지능 등 미래 첨단분야에서 핵심 메모리 솔루션 역할을 할 것”이라며 “스마트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차세대 기술을 선도하고 CXL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경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