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이 ‘금(金)금’이 될지도 모를 일이다. 시중 소금값이 전례 없이 오르고 있다. 경기 천일염 20㎏의 가격은 1만원이다. 지난해 5월 가격은 8천~9천원이었다. 국내 천일염의 78%를 생산하는 전남 신안군 소금은 상승폭이 훨씬 크다. 3천~4천원에서 8천원까지 올랐다. 분명한 요인이 있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이다. 방사능 소금이 우리 식탁에 오를 수 있다는 공포감이 소금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경기 소금이다. 칼륨과 마그네슘 등 미네랄 성분이 특히 많다. 외국산 소금의 100배까지 확인되기도 한다. 같은 국내산인 신안 소금보다도 훨씬 고품질로 여겨진다. 가격이 신안 소금보다 두 배에 가까웠다. 시장 점유율 높은 신안 소금이 먼저 폭등했다. 두 제품 가격 차이가 현격히 좁혀졌다. 시간차를 두고 경기 소금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
경제성을 떠나 경기도의 상징적 필수 식재료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만드는 곳이 없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경기도에 염전은 총 17곳이다. 이 중 1곳이 폐업 예정이고, 1곳은 정비 중이고, 6곳은 생산이 중단됐다. 겨우 9곳만 가동 중이다. 지역별로는 안산 3곳, 화성 6곳이다. 제품 생산이라기보다는 무슨 유적·문화 보존 수준이다. 경기도도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염전 폐업을 막기 위해 지원책을 마련했다.
염전 바닥재 개선사업비가 4억원이다. 소금보관창고 개ㆍ보수비도 1억원이다. 소금운반장비 설치비도 2천만원이다. 이밖에 소금 소비 촉진 등의 계획도 마련해놓고 있다. 그런데 집행된 예산이 거의 없다. 시설 개선 신청자가 없다. 지원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있다. 지원 사업의 자부담 비율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소속 정승현의원(안산 4)은 지원 현실화를 강조한다.
맞는 것 같은데, 생각해 볼 이견이 있다. 경기도 관계자가 취재진에 전한 얘기다. 염전 소유자들이 시설 개선에 소극적이라며 이유를 설명했다. “염전주들이 소금 생산보다 땅 용도변경에 관심을 더 가진 것으로 보인다.” 염전 소유의 목적이 소금 생산이 아니라 용도 변경을 통한 땅값 차익에 있다는 얘기다. 이렇다면 얘기가 달라지는 것 아닐까. 담당 공무원이 분석하고 있는 요인이다. 허투루 넘길 얘기는 아닌 것 같다.
염전 지원책이 걸린 문제다. 염전 정책의 방향이 바뀔 수도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