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소기업의 ESG경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환경 기업 인센티브 제공 등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14일 경기도 중앙협력본부 서울사무소에서 ‘2021 상반기 경기도 정책토론 대축제-경기도 중소기업 ESG경영 지원 방안’을 개최했다. 도의회 유튜브 채널인 ‘e끌림’에서 함께 생중계된 토론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소속 남운선 의원(더불어민주당ㆍ고양1), 김영철 경기도 소통협치국장 등 소수 관계자만 참석한 채 진행됐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ment)의 줄임말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는 기준으로 등장한 개념이다.
먼저 김진성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ESG평가팀장은 ‘지속가능경영의 잣대, ESG’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팀장은 ESG 전략적 관리는 사회적 가치와 기업가치 개선을 촉진할 수 있으며, KCGS의 ESG 평가는 국내 상장기업의 ESG 관행을 개선하도록 지원해 기업과 자본시장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최환석 민주연구원 연구위원은 ESG 투자 증가가 자본조달, 제품혁신, 브랜드 제고, 전략적 파트너십 등 기업에 새로운 성장기회를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최 연구위원은 “애플 등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협력업체에 ESG 책임 의무를 요구하는 등 산업 내 주도권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ESG채권(녹색채권, 지속가능채권 등), ESG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 정책적 사다리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운선 의원이 좌장을 맡은 토론회에는 김진우 경기경영자총협회 상임이사, 유승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 원장이 패널로 참석해 열띤 토의를 펼쳤다.
김진우 상임이사는 “경기도,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ESG경영에 대한 중소기업 협의체’를 구성해 기업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경 경과원장은 “ESG 개념을 분석하면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환경적ㆍ사회적 지속가능성이 서로 일치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며 “경과원이 중소기업에 지급하는 보조금 평가기준에 ESG 항목을 넣는 방안을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토론회 좌장인 남운선 의원은 “경기도에서 중소기업 ESG경영을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정 활동을 기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