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상치 않은 소비자물가, 안정대책 강구해야

소비자물가 상승이 가계를 위협하고 있다. 지난 13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올해 4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1년 전에 비해 무려 2.3% 올라 3년 8개월 만에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번 달에도 3%까지 웃돌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어 시장에서 생활필수품을 사는 주부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는 한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미국은 4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2% 급등했다는 12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의 발표로 인해 금융시장은 충격에 쌓여있다. 이는 13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공포를 급격히 키웠으며, 이로 인해 이날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2% 안팎으로 급락했다. 이에 따라 한국 증시도 출렁였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은 불가피하게 경제에 인플레이션 경고음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봉급생활자의 실질소득과 구매력이 줄어들어 서민들의 가계생활은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시장에 막대한 자금을 풀어 물가를 자극한 요인이 결정적이다. 또한 국제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재 가격도 오르는 중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농축산물 물가는 소비자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지난달 채소 가격은 전년 같은 달보다 19.3% 올랐다. 같은 기간 축산물은 11.3% 상승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7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겸 제11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하고 “계란의 경우 1~3월까지 누계로 6천400만개, 4월 4천만개에 이어 5월에도 4천만개+알파(α)를 추가 수입해 충분한 물량이 시중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쌀·배추 비축물량 방출 등 적극적인 조치를 하겠다고 한다.

그동안 물가가 억눌려 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반등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고, 최근 물가 지표가 그렇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진단도 있기도 하지만,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인해 서민들의 생활이 어려운 상황에 소비자 물가 상승은 가계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정부는 물가 안정에 주력해야 된다.

물가 안정과 더불어 정부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정책도 역시 중요한 정책 목표로 설정, 이에 대한 대책도 적극 강구해야 된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은 필요한 정책이기는 하지만 이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즉 금리 인상은 자칫 빚이 많은 가계와 기업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임으로 이런 상황에 대비,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사전에 대비책도 마련해야 될 것이다. 재삼 물가안정과 인플레이션 대비에 대한 정부의 종합대책 마련을 요망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