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수원시, '8년 답보상태'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재추진

수원시가 7년째 첫 삽도 뜨지 못하고 표류 중인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에 대한 자체 타당성 조사에 착수한다.

국토교통부가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에 대해 입안 절차부터 다시 진행하라고 한 요구(경기일보 3월9일자 1면)에 따른 조치다.

24일 수원시에 따르면 수원시는 이르면 5월 말께에서 6월 첫째 주 내에 예산 4천200만원을 들여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 자체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조사기간은 6월15일부터 9월15일까지 3개월이다.

수원시는 이번 자체 타당성 조사에서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단지 조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개발단지 조성을 통한 도시균형 발전 ▲시일이 지나면서 개정된 법령과 현장 여건 등에 관한 재검토 등을 살펴볼 방침이다.

수원시는 자체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하고 , 현재 국토부와 협의 중인 사업부지 내 그린벨트로 묶인 일부 부지에 대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면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본격적인 타당성 조사를 받을 계획이다.

수원시 도시개발과 관계자는 “이번 타당성 조사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조사를 받기 위한 사전 조사”라며 “이번 조사를 비롯해 수원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가 2014년 4월부터 추진하는 R&D 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은 권선구 입북동 일대 35만7천㎡(성균관대 보유 31만1천㎡) 부지에 에너지 기술(ET)과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등 연구집약시설을 조성하는 내용으로, 총 2천300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투입된다.

수원시는 지난 2014년 1월 ‘2030 수원 도시기본계획’을 경기도로부터 승인받아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개발에 필요한 토지를 확보했다. 그러나 수원시는 사업 부지 가운데 일부(35만㎡)가 개발제한구역인 탓에 국토부에 그린벨트 해제를 신청하는 단계에서 제동이 걸려 7년째 답보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