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하수처리장서 생태계교란종…생태계 위협

인천시가 증설을 추진 중인 만수공공하수처리시설 부지에 생태계교란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만수하수처리장을 증설하는 과정에서 이들 생태계교란종이 주변으로 퍼져 나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26일 시에 따르면 남동구 서창동 500의161에 있는 만수하수처리장을 오는 2024년까지 지하화하고 3만5천㎥의 처리용량을 증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유입량이 점차 늘어나는 하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등을 없애기 위해서다. 사업은 일정 규모의 손실·수익을 시행사와 시가 분담하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BTO-a) 방식으로 이뤄진다. 증설을 마치고 나면 만수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은 10만5천㎥까지 늘어난다.

그러나 시행사가 사업을 위해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업부지에 환삼덩굴,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생태계교란종이 서식 중인 것을 발견했다.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담당한 조사기관은 이들 생태계교란종이 사업부지 내 녹지구역과 도로변 등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공사 과정에서 주변 지역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봤다. 만수하수처리장 사업부지에 머물던 교란종이 퍼지면 주변의 생태계까지 파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분석이 나오자 환경단체에서는 만수하수처리장 증설 공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생태계 교란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공사가 생태계 파괴로 이어져선 안 된다”며 “생태계교란종을 모두 제거하고 공사를 하거나 상응하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에 시는 다음달 실시설계용역 계약을 하는 과정에서 생태계교란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재 시는 한강유역환경청 등 환경기관의 검토의견을 받고 주민공청회를 여는 등의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이어나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생태계교란종이 뿌리를 내린 대지 표면을 제외하고 그 아래 깊은 곳에 있는 내부 토사만 반출해 만수하수처리장을 지하화하는 방법을 시행사와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이 방식으로 사업기간이 얼마나 길어질지는 실시설계용역을 해봐야 알 수 있지만, 공사 과정에서는 분명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