警, 수사 결과에 따라 은수미 소환 여부 곧 결정
성남시 채용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의 칼끝이 은수미 시장을 향하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7일 기자단 브리핑에서 최근 은 시장이 ‘안기부’ 등의 표현을 써가며 경찰의 수사 행태를 비판한 것에 대해 모든 수사는 적법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수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따져본 뒤 은 시장의 소환조사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경기남부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달 24일 성남시청 시장실과 채용 관련 부서 사무실 등 14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은 시장의 채용 비리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월1일에 이어 두 번째였다.
이후 은 시장은 지난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례적이고 위법한 압수수색에 대하여’라는 글을 올리고 경찰을 비판했다.
그는 경찰과 언론이 함께 왔다는 점을 들어 “없는 증거를 만드는 가장 손쉬운 방식이 고문이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론을 형성하고 증거를 짜깁기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사건과 전혀 관계없는 15년간의 방대한 개인자료까지 가져갔다”며 “영장주의 원칙에 반하는 위법한 압수이며, 과거 투망식으로 자료를 쓸어가고 위협하던 안기부의 행태와 너무나 닮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경찰은 은 시장의 발언에 대해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할 때마다 여러 반발이 있어왔으나, 법원의 발부에 따른 정당한 법 집행”이라며 “모든 압수수색은 영장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만 이뤄졌고 수사 과정 또한 적법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받아쳤다.
은 시장을 둘러싼 논란은 그의 비서관 출신 L씨가 지난 1월 공익 제보한 부정채용 의혹으로 시작됐다. 당시 L씨는 국민권익위원회에 ‘성남시 공공기관 채용 비리 신고서’를 내고, “성남시청과 산하기관에 은 시장 선거캠프 출신 27명이 부정채용됐다”며 조사를 요구했다. 신고서에는 성남시청과 서현도서관, 산하기관 등에 캠프 출신들이 대거 채용됐으며, 인사 관련 간부 공무원과 전 선거캠프 종합상황실장 등 39명을 조사해달라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재까지 은 시장 채용 비리 의혹과 관련, 42명을 내ㆍ수사하고 38명을 입건했다. 은 시장도 피고발인으로 입건 대상에 포함돼 있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마지막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며 “곧 압수물 분석, 수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은 시장의 소환조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