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소속 의원에 대해 ‘자진 탈당’ 권유라는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이번 의혹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도 전에 12명 전원에게 탈당을 권유한 것은 그간 부동산 문제 해결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잠재우기 위한 극약처방이란 해석이 나온다. 다만 일부 의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당내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8일 브리핑을 통해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 결과,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의원 12명에게 탈당을 권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민주당이 공개한 부동산 투기 의혹 의원은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에 김주영(김포갑)·김회재·문진석·윤미향 의원, 업무상 비밀 이용 의혹에 김한정(남양주을)·임종성(광주을)·서영석 의원(부천정), 농지법 위반 의혹에 양이원영·오영훈·윤재갑·김수흥·우상호 의원 등 12명이다. 이 중 비례대표인 윤미향·양이원영 의원은 출당 조치를 하기로 했다고 당은 설명했다.
고 수석대변인은 “무죄 추정 원칙상 과도한 선제조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집권당 의원이라는 신분을 벗고 무소속으로 깨끗하게 의혹을 풀으라는 게 이날 회의에서 송영길 대표(인천 계양을)의 생각이었다”며 “이번 의혹을 풀지 못한다면 민주당은 국민께 신뢰를 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당은 탈당 권유를 수용해 달라고 의원들에게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료 의원이 하루빨리 의혹을 풀고 돌아올 수 있도록 문을 열고 기다리겠다. 앞으로도 민주당은 언행일치 자세로 부동산 투기 문제에 대처하고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민주당이 탈당 권유 카드를 꺼내 든 것은 부동산 문제가 거론될 때마다 따라오는 ‘내로남불’ 시비를 끊어내는 동시에 정권 재창출을 위한 수로 풀이된다. 앞서 송 대표를 비롯해 당 지도부는 그동안 부동산 의혹이 불거진다면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누누이 밝혀왔다.
고 수석대변인은 “혹여 ‘제 식구 감싸기’로 비칠 수 있는 점을 감안해 해당 의원들의 소명을 듣지 않고 탈당 권유를 결정했다”며 “그만큼 당 지도부가 이 문제에 강한 의지로 대처했다”고 말했다.
이날 민주당은 국민의힘에 대한 견제도 잊지 않았다.
고 수석대변인은 “국민의힘이 감사원을 통해 조사를 받겠다고 하는데, 감사원법에 국회의원은 배제한다고 나와있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명확히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태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