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사회적 합의 결렬로 ‘무기한 파업’ 돌입

택배노동자의 과로사를 막기 위해 별도 인력을 분류작업에 투입키로 하는 등 사회적 합의가 도출됐지만, 사측에서 이를 지키지 않아 택배노조가 분류작업 전면 거부를 선언했다. 사진은 지난 5월 한진택배 광주영업소에서 분류작업 중인 택배기사들의 모습. 윤원규기자
택배노동자의 과로사를 막기 위해 별도 인력을 분류작업에 투입키로 하는 등 사회적 합의가 결렬되면서, 택배노조가 무기한 전면 파업을 8일 선언했다. 사진은 지난 5월 한진택배 광주영업소에서 분류작업 중인 택배기사들의 모습. 윤원규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사회적 합의 결렬로 ‘무기한 전면 파업’을 선언했다.

택배노조는 8일 오후 6시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전체 조합원 6천500여명 가운데 쟁의권을 가진 2천여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쟁의권이 없는 조합원은 현행대로 오전 9시 출근, 11시 배송출발로 분류작업 거부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와 여당, 택배노사 등이 참여하는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을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는 1차 합의에서 ▲택배기사 업무에서 분류작업 제외 ▲택배기사 작업시간 제한 ▲심야배송 금지 등을 결정했다. 당시 CJ대한통운을 비롯한 대형 3사는 총 6천명의 분류인력 투입 등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사측에선 이를 지키지 않았고 기사들은 ‘까대기’라 불리는 분류작업을 계속해야 했다. 사회적 합의기구는 이날 오후 2시 협상에 돌입했지만 택배사들은 합의안 타결을 미루고 적용 시점을 1년 유예해달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택배노조 측은 이 같은 사측의 태도를 가장 핵심적인 결렬 원인으로 지목했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분류작업 문제를 더는 미룰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파업을 결정했다”면서도 “누구라도 대화를 요청하면 피하지 않고 협상에 임하겠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편 택배노조는 9일 오전 전체 조합원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다음 사회적 합의기구 회의는 오는 15~16일 중 열릴 예정이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