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올해 인천복지기준선의 구체적인 시행 원년을 맞아 중점사업을 선정하고 이행 상황 점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9일 인천사서원에 따르면 시민 모니터링단인 ‘인천복지기준선 시민이행평가단’은 최근 인천복지기준선의 118개 실행과제를 대상으로 중점사업을 선정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해 10월 29일 소득·건강·주거·교육·돌봄 등 5대 영역에서 인천형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인천복지기준선을 발표했다. 인천복지기준선은 인천시민이 인간답게 생활하기 위한 조건을 시가 책임지기위해 정한 최소한의 기준선이다.
시민이행평가단은 지난 4월 1일부터 118개 인천복지기준선 실행과제의 실행력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이행상황을 점검해왔다. 지난 1일에는 시민이행평가단이 모여 분과별 중점사업을 선정했다.
이들은 소득분야 중점사업으로 인천형 기초보장제도 시행·인천형긴급복지 지원확대·청년 발달장애인 소득보장 지원 등 6개 과제를 꼽았다. 건강분야에서는 감염병 전담병원 설립·제2인천의료원 설립·건강생활지원센터 확대 등 6개 과제를 중점사업으로 정했다.
또 교육분야의 경우 교육약자를 위한 특수학교 환경 개선·다문화 학생을 위한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지역간 교육환경 불평등 해소 등 7개 과제를 중점사업으로 택했다. 돌봄분야 중점사업은 다함께 돌봄센터 확충·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대상자 확대·성인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대상 확대 등 6개다. 주거 분야 중점사업은 아직 시민이행평가단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인천사서원은 이달 중 시민이행평가단이 선정한 중점사업을 시에 전달하고 이행상황을 지속해서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인천복지기준선 실행과제에 대한 시민 만족도(체감도) 조사를 할 예정이며 오는 2024년께 현황조사도 계획하고 있다.
유해숙 인천사서원장은 “인천복지기준선은 그동안 취약계층에만 한정하던 복지를 시민 보편적 복지로 확대하고 일종의 ‘사회적 가족’을 꾸리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이어 “당당한 시민과 함께하는 풍요로운 인천복지드림(인복드림)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