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희영 광주시의원, “구체적인 철도망 구축계획 밝혀라”

제286회 광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광주시의회 동희영 의원이 지난 11일 열린 제286회 광주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철도사업과 관련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광주시가 시민이 그토록 원하는 철도사업을 추진하며 기본이 되는 사전타당성 검토조차 실시하지 않는 등 현황파악조차 하지 못한 채 방관자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공세에 나섰다.

동 의원은 “광주시는 지난 2017년 민선6기 조억동 전 시장이 공약사업으로 추진 중이던 신사-위례-성남-광주-오포 광역철도 사업을 시민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없이 폐기했다”며 “그 결과 2017년 이후 위례-삼동 연장노선에 대해 어떠한 준비도 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꼬집었다.

이어 “신동헌 시장은 민선7기 출범 이후 위례-삼동 노선 연결에 대한 성남시의 물음에 동의했다. 하지만 이 노선을 태전과 오포까지 연장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검토는 없었다”며 “결국, 성남시와 국토부, 국회만 쳐다볼 뿐 기초지자체에서 처리해야 할 일련의 용역검토도 하지 않은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대광위(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위례-삼동 노선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당시 임종성, 소병훈 국회의원의 요청에 따라 태전과 오포지역 연장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졌으나 타당성이 부족했다고 한다”며“위례~삼동 연장노선을 태전과 고산 등 오포지역으로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사전타당성조사 결과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 본 계획에 위례~삼동 노선을 태전동이나 오포까지도 끌어올 수 있는 단초가 됐을 것이다”고 주장했다.

동 의원은 “광주시는 위례-삼동 노선을 태전까지, 오포까지 끌어올 경우 타당성이 얼마나 나오는지,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조차 파악을 못 하고 있다”며 “방관자적 자세에서 벗어나 철도망 구축계획을 위한 전략구상을 명확히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광주시와 관련된 철도사업은 삼동-용인, 위례-삼동, 오포-분당, 수서-광주, GTX A와 D노선 등 6개 노선이다. 이 중 수서-광주 복선전철 사업은 확정됐고, 위례-삼동 노선은 제4차 국가철도망 사업에 반영될 예정이다. 삼동-용인-안성 노선은 추가검토사업으로 제시되며 삼동-용인 구간을 우선 추진사업으로 본 계획에 반영해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광주=한상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